
국내 반려동물 양육인구가 1500만명을 넘어서며 병원비 부담을 덜어주는 펫보험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여기는 문화가 확산되면서 건강 관리와 병원비 지출이 증가한 것이 주요 배경으로 꼽힌다.
7일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의 '2025 한국반려동물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2년 내 반려동물 치료비를 지출한 가구는 전체의 70.2%로 집계됐다. 이들이 부담한 평균 치료비는 102만7000원으로 1년 전(57만7000원)보다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그러나 펫보험 가입률은 2.1%에 불과했다. 반려가구의 91.7%가 펫보험의 존재를 알고 있음에도 보험료 부담과 제한적인 보장 범위 등으로 가입을 망설이는 경우가 많았다.
보호자의 관심은 높지만 가입률은 여전히 낮은 상황에서 보험업계는 보다 실용적인 가격과 보장을 갖춘 상품으로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국내 최초 반려동물 전문 보험사 마이브라운은 월 1만원대에 고액 진료까지 기본 보장하는 상품으로 펫보험 진입장벽을 낮췄다. 국내에서 가장 많이 양육되는 견종인 말티즈(2세 기준)는 월 보험료가 1만9863원, 푸들(2세 기준)은 1만8203원이다.
MRI, CT, 항암치료, 경련, 췌장염 등 고액 검사와 치료 12종을 별도 선택 없이 모든 플랜에 포함하고 있으며, 연간 총 보상 한도 내에서 횟수 제한 없이 보상하는 것이 특징이다. 수의사가 상품 기획을 주도해 일반적인 피부·치과 등 일상 질환부터 임상 현장에서 빈도가 높은 항목까지 폭넓게 보장 항목을 구성했다.
기존 손해보험사들도 펫보험 시장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NH농협손해보험은 실손의료비 보장을 강화한 모바일 전용 상품 'NH다이렉트펫앤미든든보험'을, 캐롯손해보험은 월 9900원으로 연간 50만원까지 보장하는 멤버십형 상품을 출시해 틈새시장에 대응 중이다. 메리츠화재는 병력이 있는 반려동물도 가입할 수 있는 간편심사형 상품으로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펫보험 시장은 아직 태동기에 해당하지만 양육 인구 증가와 진료비 고액화에 따라 빠르게 성장 중"이라며 "보호자들의 실질적인 니즈를 세밀하게 반영하는 것이 시장 확대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