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전국 지방자치단체 일자리대상' 광역 대상

  • 공시제 부문 국무총리상·우수사업 부문 장관상...지역특화·신산업 일자리 성과 인정

사진부산시
[사진=부산시]

부산시가  30일 청주오스코에서 열린 고용노동부 주관 2025 전국 지방자치단체 일자리대상 시상식에서 공시제 부문 광역단체 대상과 우수사업 부문 우수상을 받았다.

공시제는 지자체가 일자리 목표를 수립·공표하고 추진 실적을 평가해 우수 단체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제도다.

시는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재정 지원 일자리 사업을 확대한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수소·조선·블루푸드테크 등 신성장 산업에서 1470명의 일자리를 만들고, 부산디지털혁신아카데미를 통해 ICT 인재 4482명을 양성해 2431명을 취업으로 연계했다.

2024년 민간기업 투자유치 6조 원을 달성했고, 지산학 협력 선도도시로서 부산형 라이즈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부산 워털루형 코업과 산학연계 현장실습 브릿지 사업을 통해 실무형 인재의 지역 정착을 지원했다.

인공지능·정보보안 등 신산업 전문 인재 730명, 항만·물류 분야 800명 등 전략 인력 양성으로 미래산업 기반도 강화했다.

청년·노인·여성·장애인 등 대상별 맞춤형 지원을 통해 총 9만 1096개의 일자리를 제공했고, 재정지원 일자리 전 분야에서 목표 대비 110%를 초과 달성했다(18만 9988개 → 20만 8959개).

플랫폼노동자지원센터 운영, 이동 노동자 쉼터 제공, 산업안전 전담팀 신설 등 노동 권익 보호도 병행했다.

고용 지표는 고용률(15~64세) 66.9%로 역대 최고, 청년 고용률(15~29세) 46.1%로 역대 최고이자 상승률 특·광역시 1위를 기록했다.

여성 취업자는 75만 9000명으로 역대 최대, 상용근로자는 93만 9천 명으로 특·광역시 중 증가율 1위(6.24%)를 보였다.

우수사업 부문에서는 ‘우리동네 ESG 일자리’가 우수상을 받았다.

이 사업은 폐플라스틱 수거·재활용 기반의 자원순환 생태계를 노인 일자리와 결합한 모델로, 2022년부터 2024년까지 노인 일자리 1680개를 창출했다.

폐플라스틱 7만 톤 이상을 수거하고 탄소배출 약 95톤을 줄였으며, 유치원·초등학교 등 8900여 명을 대상으로 환경교육을 실시했다.

이 사업은 그린 월드 어워즈 2025 은상을 수상했고, 지난 8월 중구 5호점을 개소하는 등 확대 중이다.

시는 이번 수상을 계기로 미래 신산업 기반의 지속 가능한 일자리 발굴, 지산학 협력과 창업 지원을 통한 청년 정착형 고용 확대, 노인·장애인·비정규직 등 취약계층 맞춤형 일자리 강화를 이어갈 계획이다.

박형준 시장은 “이번 수상은 시와 지역 기업, 시민이 함께 이룬 성과”라며 “시민이 체감하는 좋은 일자리 창출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 일자리 걱정 없는 부산을 실현하고, 부산을 지속 가능한 일자리 선도 도시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