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한 질주 금값, 올해만 46% 급등…"金강세 계속된다"

아주경제 그래픽팀
[아주경제 그래픽팀]

올해만 46% 이상 상승하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는 금 가격이 추가 상승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금리 인하 사이클, 인플레이션 우려, 외환보유액 다각화 움직임 등으로 중앙은행과 투자자들의 금 수요가 지속되면서다.

8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금 현물 가격은 온스당 3866 달러를 찍으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올해에만 금값이 46.1%나 상승했는데 금 가격은 지난해부터 강세를 이어오다 올해 5~7월 조정국면을 거친 후 8월 중순부터 상승세가 가속화하고 있다. 

최근 금 가격 강세 움직임은 △달러 약세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 △인플레이션 우려 △ETF 투자수요 △중앙은행 수요 등이 견인했다는 분석이다. 

달러 약세와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는 금값을 높이는 주 요인이다. 올해 달러화 가치는 안전자산 지위 약화와 재정건전성 우려 등으로 약세를 지속했다. 달러인덱스가 지난해 말 108.49에서 지난 25일 98.55로 9.53% 하락했다. 

JP모건에 따르면 과거 7차례 금리 인하 사이클 중 6차례에서 금은 9개월 후 평균 7.2% 상승했다. 연준은 이달 17일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한데 이어 올해 두차례 추가 인하를 시사했다.

이다영 국금센터 연구원은 "인플레이션 우려와 금리인하 기대가 맞물리면서 실질금리 하락 기대가 증가했다"며 "실질 금리가 낮아지면 채권의 매력은 감소하고 무이자자산인 금의 매력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표국제금융센터
[표=국제금융센터]

금 ETF로의 자금유입도 금값의 고공행진의 배경이다. 올해 8월 기준 금 ETF의 금 보유량은 3691톤으로 2022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이는 2024년 4월대비 611톤 증가한 수치다. 9월에는 89톤이 금 ETF에 유입됐으며, 특히 연방시장공개위원회(FOMC) 이후 4거래일 만에 월간 유입액의 절반 이상인 45톤이 집중적으로 유입됐다. 

중앙은행이 달러 자산 비중을 줄이고 제재 위험이 없는 금 매입을 가속화한 점도 금값을 높인 요인으로 지목됐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서방이 러시아 외환보우고를 동결하자 신흥국을 중심으로 중앙은행들이 금을 매입해왔다. 특히 중국 인민은행은 10개월 연속 금 보유량을 확대하며 8월 말 기준 보유량이 2301톤까지 늘었다.

주요 IB들은 앞으로도 중앙은행과 투자자들의 금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평가했다. 미국 노동시장 약화, 관세로 인한 글로벌 성장 우려 등 경기순환적 요인과 미국 및 주요국 재정위기, 달러 지위, 연준 독립성 우려, 지정학적 위험 등 구조적 요인이 모두 금 강세를 지지한다는 이유다.

JP모건은 "1년내 4~5회의 25bp(1bp=0.01%포인트) 미국 금리인하가 예상되며, 금은 다른 원자재와 달리 스태그플레이션, 리플레이션, 골디락스 등 모든 시나리오에서 손실을 보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골드만삭스는 "29조 달러 미국채 시장에서 금으로 자산이 1%만 이동해도 5000달러 돌파가 가능하다"고 내다봤다.

이 연구원은 "금 상승세가 지속되면서 지금 시장에서는 약세 전망을 찾기 어려운 모습"이라며 "금 강세를 지지하는 여러 요인에도 불구하고 시장참가자들의 낙관적 편향이 지속될 경우 시장 과열로 이어질 수 있음을 경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25 서울한강 어텀워크 -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