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호 교육감 "교육발전특구 시범사업 2년 차 가시적 성과...지속 가능한 교육정주 생태계 구축 "

  • 교육발전특구 성과관리 우수 평가...교육·돌봄·진로·정주 아우르는 지역 맞춤형 교육사업 공동 추진

  • 한글날 맞아 '공공언어 개선 캠페인' 실시...'쉽고 바른 우리말은 신뢰받는 강원교육의 출발점"

사진강원도교육청
신경호 교육감이 "교육발전특구 시범사업이 2년 차에 접어들며 지역 주도의 교육혁신이 가시적 성과를 내고 있다"며 "추가 확보된 재정지원금을 통해 지역 맞춤형 교육모델을 고도화하고, 지속 가능한 교육정주 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밝히고 있다. [사진=강원도교육청]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교육감 신경호)은 지난 13일, 교육부가 발표한 ‘2024년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성과관리’ 평가 결과, 강원특별자치도가 우수한 수준의 성과를 거두었다고 밝혔다. 

이번 평가는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지정 이후 1년간 추진된 사업의 성과를 종합적으로 점검한 것으로, 교육청과 지자체가 긴밀히 협력해 교육·돌봄·진로·정주를 아우르는 지역 맞춤형 교육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한 결과다.

평가는 기존 4곳의 선도지역(춘천, 원주, 강릉, 화천)과 6곳의 관리지역(동해, 태백, 삼척, 영월, 평창, 정선)이 대상이었으며 이번 평가에서 선도지역 4곳 모두 A등급을 받아 추가 사업비를 확보했다. 또한, 관리지역이었던 정선군이 선도지역으로 상향 지정되어 추가 사업비를 지원받게 됐다.

신경호 교육감은 "교육발전특구 시범사업이 2년 차에 접어들며 지역 주도의 교육혁신이 가시적 성과를 내고 있다"며 "추가 확보된 재정지원금을 통해 지역 맞춤형 교육모델을 고도화하고, 지속 가능한 교육정주 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평가 결과로 강원특별자치도는 5개의 선도지역과 6개의 관리지역(2025년 신규 지정 홍천군 포함) 등 총 11개 시·군이 교육발전특구 시범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게 됐다.
한글날 맞아 ‘공공언어 개선 캠페인’ 실시
사진강원도교육청
신경호 교육감이 '가로세로 낱말 수수께끼'를 풀고 있다. [사진=강원도교육청]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교육감 신경호)은 제579돌 한글날을 맞아 지난 13일부터 17일까지 한글날 홍보 주간으로 정하고 한글의 우수성을 기리고 공공언어 개선을 위한 행사를 실시했다.

도교육청 1층 대형 전광판과 누리집에는 한글날과 공공언어 개선 관련 홍보물과 네모소식(카드뉴스)이 게시되었고, 누리소통망(SNS) 구독자를 대상으로 '가로세로 낱말 수수께끼'가 진행됐다.

특히 10월 15일에는 도교육청 1층 출입구에서 도교육청 직원을 대상으로 한글의 우수성과 한글날의 의미를 알리고 바른 공공언어 사용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홍보자료를 배포하고 '공공언어 개선 수수께끼' 행사를 실시했다.

행사에 참여한 직원들은 "한글날의 의미를 되새기고, 공공기관으로서 바른 공공언어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를 알게 되는 행사였다"며 소감을 밝혔다.

김진규 공보담당관은 "공공언어는 도민과의 첫 소통 창구이며 쉽고 바른 우리말은 신뢰받는 강원교육의 출발점이다"라며 "이번 행사를 통해 한글과 우리말의 소중함을 깨닫고, 쉽고 바른 공공언어를 사용하는 환경이 조성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