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GPU 26만장 공급에…삼성SDS·LG CNS·현대오토에버 덩달아 방긋

  • "5만장 GPU 클라우드 제공하면, 연간 1조5000억원 추가 매출"

  • 피지컬 AI 역량 고도화에 AI 인프라 수요 폭증

  • 클라우드 인프라·스마트팩토리·자율주행 등 투자 확대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지난달 31일 경북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에서 특별세션 기조연설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지난달 31일 경북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에서 특별세션 기조연설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엔비디아가 한국 정부와 기업에 그래픽처리장치(GPU) 26만장을 공급한다는 소식에 SI(시스템통합) 기업들이 활짝 웃었다.

3일 엔비디아와 국내 기업 간 GPU 협력으로 대기업 SI 계열사인 삼성SDS·LG CNS·현대오토에버 등이 수혜를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업들의 피지컬 인공지능(AI) 개발이 본격화 될 경우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등 대규모 AI 인프라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증권업계는 주요 기업이 5만장의 GPU를 확보해 클라우드로 제공할 경우, SI 계열사에 연간 1조5000억원의 추가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보고 있다. 피지컬 AI 기반으로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구축·운영을 맡게 될 경우 추가적인 외형 성장도 기대된다. 

삼성전자는 향후 반도체 생산공정 전반에 AI를 내재화하고, 엔비디아 옴니버스 플랫폼을 기반으로 디지털 트윈 제조환경을 구축할 계획이다. SK와 현대차그룹도 옴니버스와 쿠다(CUDA) 기반의 AI 팩토리 구축 계획을 밝혔다. 

SI 기업들은 그룹사의 클라우드 인프라·소프트웨어·스마트팩토리 사업을 맡고 있다. 삼성SDS는 30년 이상 삼성전자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공장의 스마트팩토리 설계·구축을 담당해왔고, 현재 그룹 계열사의 클라우드 수요에도 대응하고 있다.

현대오토에버는 현대차의 차량용 소프트웨어 사업 추진을 위한 핵심 계열사다. SI 사업 구조상 GPU 구매대행, 데이터센터 자산구축 및 관리 등 여러 사업에서 수익이 창출될 것으로 보인다.

LG CNS도 고객사인 LG그룹·현대차의 스마트팩토리 투자 확대가 기대되고, 데이터센터 설계·구축·운영(DBO) 고객사인 네이버의 GPU 확대로 인한 추가 투자도 예상된다.  

정원석 신영증권 연구원은 "SI 기업들이 전체 매출의 80%를 차지하던 그룹사의 IT 투자는 그간 지지부진 했는데, 엔비디아 협력 이후 대규모 투자가 예상된다"며 "SI 업계의 직접적인 실적 개선 효과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