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 갈등'으로 병원 운영에 차질이 있었던 지난해 응급실을 이용한 환자가 19%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4일 보건복지부와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응급실 이용 건수는 784만4739건으로 직전 해인 2023년 964만2461건 대비 179만7722건(18.6%) 감소했다.
인구 1000명당 전국 응급실 이용 건수 역시 지난해 153.2건으로 2023년 187.9건 대비 34.7건(18.5%) 줄었다.
응급실 내원 환자 중 71.6%는 자동차나 도보 등 스스로 방문했으며 119구급차(23.9%)와 기타 구급차(3.6%)가 뒤를 이었다.
응급실 도착까지 걸린 시간은 30분∼2시간 미만(27.2%)이 가장 많았다. 이어 24시간 이상 응급실에 도착하지 못한 환자가 26.9%로 뒤를 이었다. 이 밖에 2∼4시간 미만(12.2%), 12∼24시간 미만(9.8%) 순이었다.
응급실을 찾은 중등증 이상 환자 비중은 늘고 경증·비응급 환자 비중은 감소했다.
응급실 최초 중증도 분류(KTAS) 결과 지난해 중증 응급으로 의심되는 중등증 환자(KTAS 3등급)가 전체 중 52.9%를 차지했다. 중등증 환자 비중은 2022년 43.4%, 2023년 45.7%에서 7.2%포인트 증가했다. 경증·비응급(4~5등급) 환자 비중은 46.9%에서 37.2%로 9.7%포인트 감소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