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생활형 로봇 도입...미래도시 조성 본격화

  • 5.6조 원 규모 국가시범도시 추진

  • 생활밀착형 로봇 4종 시범 도입

로봇혁신기술 도입현황사진부산시
로봇혁신기술 도입현황[사진=부산시]
 

부산시가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조성을 본격화하며 로봇혁신기술 기반의 스마트라이프 구현에 나선다.

부산시는 17일 강서구 일원에서 추진 중인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조성에 속도를 내고 있으며, 사업 시행을 위해 설립된 사업법인과 함께 미래 스마트라이프 실현을 위한 핵심 기반을 구축한다고 밝혔다. 

사업 시행을 총괄하는 '스마트시티부산 주식회사'는 부산시·한국수자원공사·부산도시공사의 공공부문과 LG CNS·신한은행·현대건설 등 11개 기업으로 구성된 민간 컨소시엄이 공동 출자해 설립한 특수목적법인이다.

사업법인은 향후 5년간 국가시범도시 예정지 내 선도지구 조성과 다양한 스마트서비스를 제공하며, 특히 로봇 혁신 기술을 우선 도입해 교통·생활·에너지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첨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조성' 사업은 국토교통부와 한국수자원공사가 주관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스마트시티 사업으로, 사업 기간은 구축 5년, 운영 10년을 포함한 총 15년이다.

전체 사업 규모는 약 5조6000억원이다. 여의도와 비슷한 2.8㎢(약 84만 평) 규모의 백지 부지에 상업·업무·주거·문화 시설 등을 구축하고 첨단 IT 신기술을 적용해 지속 가능한 미래 스마트시티 대표 모델을 조성하는 것이 목표다.

법인에서 발생하는 수익은 스마트서비스 고도화·신규 서비스 개발 등에 전액 재투자해 민간의 창의적 비즈니스 모델을 도시 운영에 반영하는 '민·관 공동사업'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올해 본격화된 시범도시 조성의 첫 단계로 공동주택 중심의 생활밀착형 로봇 서비스 4종이 시범 도입되고 있다. 이를 위해 16일 오전 10시 에코델타시티 내 입주 단지 2곳(호반써밋, 수자인)에서 '로봇도입 시범사업 오픈식'이 열렸다.

스마트시티부산㈜이 주관한 행사에는 지역 국회의원, 구청장, 시·구의원, 입주민,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했으며, 사업 소개와 함께 도입 로봇의 기능을 직접 선보이는 시연이 진행됐다.

스마트시티부산㈜은 '순찰·바리스타·짐캐리·청소' 등 4종 로봇 서비스를 아파트 단지 2곳에서 시범 운영 중이다. 이는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로봇 통합 관제 플랫폼을 도입해 다양한 로봇 서비스를 제공하는 최초의 사례다.

바리스타 로봇은 아파트 커뮤니티센터에 설치돼 주민을 위한 무인 음료 제조 서비스를 제공하며, 관리비 연동으로 음료 재료비만 자동 정산된다.

청소 로봇은 아파트 내 공용공간에서 지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청소를 실시해 인건비를 절감하고 상시 쾌적한 환경을 조성한다.

순찰 로봇은 아파트 단지 내 자율주행 순찰을 실시하며, 화재·안전사고 감지 시 관제실 및 관리사무소에 통보해 순찰인력을 절감한다.

짐캐리 로봇은 지하주차장에서 집 앞까지 짐 자동 운반 서비스를 제공하며, 로봇이 독립적으로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고 도착 시 폰 알람으로 짐 수거를 안내한다.

향후 서비스 범위를 확대하고 고도화해 시민이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는 스마트 경험을 제공할 계획이다. 창문 청소 로봇과 웨어러블 로봇 등은 유상 렌탈서비스로 제공된다.

박형준 시장은 "부산시를 비롯한 한국수자원공사, 부산도시공사가 공공부문 출자자로서 사업이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과 공적 역할을 다하겠다"며 "국가시범도시를 시민들이 안전하고 편리한 스마트 서비스를 누리는 공간으로 만들기 위해 국토교통부 등 관계 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