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시 원도심 재생의 핵심으로 꼽혀온 하동제일시장 재개발사업이 10년 이상 표류하면서 현실성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민선 8기들어 이충우 여주시장이 '도심 균형발전'과 '전통시장 재생'을 주요 공약으로 내세웠지만, 사업은 사업성 부족과 계획 부실로 사실상 멈춰선 상태다.
아주경제 종합 취재와 상인·주민들에 따르면 현재 현장에는 철거된 시장 건물과 임시주차장만 남은 채 장기간 공사가 중단돼 있으며, "공약이 처음부터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는 회의감이 커지고 있다.
여기에 시청사 이전 결정까지 더해지며 원도심 공동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일부 주민들은 "시장만 바뀌었지 도심은 여전히 그대로"라며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하동제일시장은 1982년 개장 이후 한때 여주의 대표 상권이었으나, 노후화와 상권 이동으로 급격히 쇠락했다. 시장 주변은 노후 건물 비율 80%, 상가 공실률 40%에 달하는 등 도시 슬럼화가 심각한 상황이다. 경기실크 공장 부지 또한 폐공장으로 방치돼 개발 지연이 이어지고 있다.
현재 민선 8기 핵심사업인 '여주 원도심 재생 프로젝트'는 민간 참여 저조, LH 이탈, 상인·주민 간 갈등 등으로 추진 동력을 잃었다.
시는 7381㎡ 부지에 지하 2층·지상 13층 규모 주상복합건물 조성, 공영주차장·생활문화센터·창업공간·근린상가·복합상업시설·LH 행복주택 120세대 등을 포함하는 복합개발을 추진했으나, 상인측은 "사업 실효성을 높이려면 상업시설 비중을 확대해야 한다"고 요구한 반면, 시는 "공공기능이 포함돼야 사업 타당성이 확보된다"고 맞서면서 구조 설계 단계부터 난항이 지속됐다. 이로 인해 사업은 재검토 수준까지 후퇴하며 장기 표류하고 있다.
지역 정가에서는 "하동제일시장 재개발은 여주시 도시개발 능력을 확인할 시금석"이라며 "현 상황을 방치할 경우 원도심 전체가 장기 침체에 빠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전문가들 역시 "공약 중심 개발이 아닌 중장기 도시전략 필요성"을 강조했다.
여주시는 하동제일시장 재개발 지연과 관련해 현재 부지 활용 방향에 대한 내부 계획을 수립 중이라고 밝혔다. 시는 "11~12월 중 계획이 정리되면 정상 추진이 가능할 것"이라며 사업 재가동 의지를 나타냈다.
시는 또한 설계공모 이전 단계에 해당하는 건축기획용역을 진행 중이며, 구체적인 설계·착공 단계는 아직 착수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민선7기에서 확보한 국비 120억 원에 대해서는 "반납하지 않고 보유하고 있으며, 향후 사업예산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시는 하동제일시장 재개발이 장기 표류한 배경으로 LH의 사업 포기와 민간투자자 부재를 지목했다. "애초 LH가 임대주택 120호와 공공시설을 포함한 개발을 추진했으나 이탈하면서 사업이 중단됐다. 시장 재개발을 다시 정상궤도로 올리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LH 이탈과 민간 참여 부진으로 표류 중인 하동제일시장 재개발은 여주시의 도심재생 정책 전반의 성패를 좌우하는 사업으로 평가된다. 실질적 실행 로드맵 마련과 투자 신뢰 회복이 과제로 남아있다.©'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