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버블 우려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오픈AI를 비롯한 빅테크들은 데이터센터 건립에 더욱 속도를 내고 있다.
20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오픈AI는 데이터센터용 하드웨어 개발을 위해 대만 폭스콘(훙하이)과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이날 밝혔다.
오픈AI는 AI 산업의 하드웨어 수요 정보를 공유하고, 폭스콘은 하드웨어 설계와 제조를 맡는 방식이다. 데이터센터 서버랙과 케이블, 네트워킹, 냉각 및 전력 체계, 기타 핵심 장비 등이 개발 대상 부품으로 포함됐다.
오픈AI는 브로드컴과 협업해 맞춤형 자체 칩도 개발 중으로 자체 서버랙 등 다른 데이터센터 장비까지 갖추게 되면 엔비디아를 비롯한 외부 의존을 줄이고 자체 힘으로 데이터센터를 확장할 수 있게 된다.
폭스콘 입장에서도 미국 내 시설에서 데이터센터 장비를 생산하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잠재적 관세 부과를 회피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애플에 대한 의존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외신들은 관측했다. 폭스콘은 애플 아이폰의 최대 제조업체다.
동시에 손정의 회장이 이끈느 소프트뱅크는 AI 데이터센터에 들어갈 장비 생산을 위해 최대 30억 달러(약 4조4000억원)를 투자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 정보기술(IT) 전문매체 디인포메이션은 소프트뱅크가 미국 오하이오주 로드스타운에 있는 전기차 공장을 제너럴모터스(GM)와 폭스콘으로부터 인수해 개조하는 데 30억 달러를 투자한다고 소식통을 인용해 이날 보도했다.
지난 8월 공장을 인수한 소프트뱅크는 이곳에서 생산한 장비를 텍사스주 밀럼 카운티에 있는 오픈AI 데이터센터 등으로 공급할 예정이다. 내년 1분기부터 장비 생산을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