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은 이같은 내용이 담긴 '2025년 한국 연례협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는 IMF 한국 미션단이 지난 9월 11일부터 24일까지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등 주요 정부 부처·관계기관과 실시한 면담 등을 기반으로 작성됐다.
IMF는 한국경제가 2025년 하반기부터 회복 국면에 진입, 내년에는 뚜렷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완화적인 통화·재정 정책과 선거 이후 개선된 소비심리 등으로 올 하반기부터 민간소비가 회복돼 연간 성장률은 0.9%를 보일 것으로 제시했다.
본격적인 경제 회복은 내년도부터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다. 대내외 불확실성 감소와 2025년 추가경정예산 등 정책 효과가 본격적으로 발생하면서 기저효과와 맞물려 성장률이 1.8%까지 오를 것으로 봤다.
물가상승률은 올 상반기 중 소폭 상승했음에도 원화 절상·유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올해 2.0%, 2026년 1.8%로 목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봤다. 경상수지는 실효관세율 상승으로 2025~2026년에는 일시적으로 흑자가 축소되겠으나 중기적으로는 수출 회복·해외투자소득 증가 영향으로 점차 개선될 것으로 예상했다.
또 단기 재정확장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중기 재정기조가 중립적이며 향후 5년간 재정여력과 부채 수준이 양호하다고 평가했다. 금융 부문 역시 당국의 선제적 정책 노력 등으로 전반적으로 건전하고 안정적이라고 봤다.
IMF는 새정부의 단기 경기부양책과 중장기 성장전략을 고평가했다. IMF 관계자는 "충분한 정책 여력과 경제 상황을 감안할 때 현 시점에서 완화적 통화·재정 정책이 적절하다"며 "올해 추경 편성과 2026년 예산안의 지출 우선순위가 IMF의 권고와 일치한다"고 설명했다.
경기 하방 위험이 현실화되는 경우 적절한 시점에 추가적인 완화정책도 고려할 수 있다고 언급하면서 성장 지원효과가 높은 연구개발(R&D)과 혁신 분야 투자를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 높아진 대외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해 내수·수출 기반을 강화해야 한다는 분석도 나왔다. 민간소비 회복을 위해서는 가계부채 관리를 강화하고 △고령자 취업 확대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 △직무 중심으로의 임금체계 개편 등 소득기반 확대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한국이 첨단제조업 분야에서 선두를 차지하고 있지만 특정 국가·품목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는 점 역시 개선점으로 지적됐다. AI 도입과 연구개발 확대 등을 통해 첨단 제조업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서비스 수출 확대, 역내 교역 강화 등 수출 기반을 다변화해야 한다는 권고도 잇따랐다.
끝으로 잠재성장률 3% 달성을 위해서는 구조개혁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는 분석도 나왔다. IMF 관계자는 "서비스업과 중소기업의 규제 완화, AI 도입 등이 장기적인 생산성 향상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