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국제행사의 숙박난을 해결하면서 동시에 지역 해양관광 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할 수 있어서다.
25일 전북특별자치도에 따르면 IOC 가이드라인 상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하기 위해서는 일정 규모의 숙박 기준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도는 새만금 신항만을 활용한 크루즈 숙박시설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크루즈 한 척당 1000~3000명 수용이 가능해 단기간에 대규모 숙박 수요를 충족할 수 있기 때문이다.
건설 비용이 들지 않고 대회 종료 후 유지비나 철거 비용 부담이 없다. 토지 훼손을 최소화하고 지속가능한 개최 가능성을 높여 친환경 대회 실현에도 기여할 수 있다.
무엇보다 올림픽 개최 후 활용도가 떨어지는 숙박시설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 대회 이후 지역 경제에 미칠 부담도 최소화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호텔 유치 활동과 건립 기간 등 현실적 상황을 고려할 때, 숙박시설 용도의 크루즈 활용도 검토해 볼 수 있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이달 열린 ‘새만금 신항만 크루즈 활성화 및 국제 크루즈터미널 조성 연구용역’ 중간보고회 결과 크루즈 관광객 1인당 1회 기항 시 평균 96달러를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박당 2000명이 승선하고 연간 10회 기항한다고 가정하면 직접 지출 연간 약 27억원, 간접은 100억원 수준의 경제적 수익이 발생한다.
관광 여건으로도 새만금은 탁월한 조건을 갖췄다.
고군산군도와 부안 채석강, 고창 갯벌 등 천혜의 자연경관이 인근에 있고, 익산 미륵사지와 군산 근대역사박물관 등 문화유산도 풍부하다. 새만금~전주 고속도로 개통으로 대회 현장까지의 접근성도 개선됐다.
실제로 대형 국제행사에서 크루즈를 숙박시설로 활용한 사례는 여러 차례 있다.
최근 경주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맞아 기업인을 대상으로 '선상호텔' 크루즈선 2척이 운영됐다. 2016년 리우 올림픽에서는 항구에 크루즈 2척을 정박시켜 약 1만명의 숙박을 제공했고, 2022년 카타르 월드컵에서도 도하항에 크루즈호텔 3척을 운영하며 총 1만개의 객실을 공급했다.
여기에 새만금 신항만은 크루즈 활성화를 위한 최적의 입지 조건을 갖추고 있다.
아시아 최대 크루즈 관광 국가인 중국과 인접해 있으며, 홍콩과 대만 등 동아시아 주요 크루즈 기항지를 활용한 상품 기획이 용이하다. 중국 국적 선사인 아도라 크루즈, 블루드림 크루즈 등 다수의 선사가 존재해 협력 가능성도 높다.
지난달에는 새만금개발청과 홍콩의 글로벌 해운서비스기업 월렘 그룹(Wallem Group)이 업무협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아울러 새만금 신항만은 2026년 2개 선석(잡화·크루즈, 잡화)을 시작으로 2035년까지 4개 선석(잡화 4)을 추가 조성할 계획이다.
선석 길이 430m, 수심 14m 규모로 조성되는 새만금 신항만은 선석 길이 430m, 수심 12m인 인천 크루즈터미널과 비교할 때 22만 톤급 크루즈선 접안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6년 개장 예정인 2개 선석의 부두 운영사가 이미 선정돼 선박 입항 지원 체계가 갖춰지면서 크루즈 유치에 청신호가 켜진 점도 장점이다.
도 관계자는 “크루즈 활용은 하계올림픽 유치를 넘어 서해안 크루즈 허브 구축의 기반이 될 것”이라며 “새만금 해양도시 브랜드 강화와 친환경·스마트 대회 실현, 전북 해양관광 산업 활성화, 국제 관광산업 도약이라는 다층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