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뉴스

  • 트럼프·네타냐후 회담 앞두고 이스라엘·후티 반군 충돌 이스라엘과 예멘의 친(親)이란 반군 후티가 충돌했다. 후티가 이스라엘 중심도시 텔아비브의 공항을 미사일로 공격하자 이스라엘은 예멘의 호데이다, 라스이사 등 항구를 후티의 거점으로 지목하며 공습을 감행했다. 타스통신은 6일(현지시간) 후티가 텔아비브의 벤구리온공항을 미사일로 공격했다고 보도했다. 야히야 사리 후티 대변인은 이날 알마시라TV에서 “미사일 부대가 군사 작전을 수행해 로드공항(벤구리온공항의 옛 이름)을 팔레스타인-2 극초음속 탄도미사일로 타격했다”고 주장했다. 2025-07-07 09:40:16
  • 美텍사스 홍수 사망자 최소 71명...트럼프, 재난지역 선포 미국 텍사스주에 쏟아진 폭우로 대규모 홍수가 발생하면서 6일(현지시간)까지 최소 71명이 사망했다. 현재 구조작업이 계속되면서 사망자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뉴욕타임스(NYT) 등에 따르면 커카운티에서만 59명의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트래비스카운티 5명, 버넷카운티 3명, 켄들카운티 2명 등 인근 지역에서도 인명피해가 확인됐다. 현재 실종자는 최소 41명으로, 이 중에는 여름 캠프 ‘캠프 미스틱’에 참가한 여자 어린이 11명과 교사 1명이 포함됐다. 이번 폭우는 지난 4일 커카운티에서 시 2025-07-07 09:22:37
  • 트럼프 "12개국 또는 15개국에 '관세 서한' 발송 예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최대 15개국에 미국이 일방적으로 정한 국가별 관세율을 적시한 '관세 서한'을 발송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뉴저지주에서 워싱턴DC의 백악관으로 돌아오기 위해 대통령 전용기(에어포스원)에 탑승하기 전 기자들과 만나 "월요일(7일)에 서한을 발송할 예정이며 12개국이 될 수도 있고, 아마도 15개국이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는 그동안 트럼프 대통령이 밝힌 12개국보다 대상국이 조금 늘어난 것이 2025-07-07 08:45:13
  • 주한 이란 대사 "중동 사태, 한반도에 악영향…北 억지력 강화할 수도" 사이드 쿠제치 주한 이란대사는 최근 서울 용산구 주한 이란대사관에서 진행한 AJP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중동 사태는 단지 이란만의 문제가 아니라, 핵 문제를 안고 있는 여러 국가와 지역, 특히 한반도 정세에도 중대한 파장을 미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북한이 이번 사태를 계기로 군사적 억지력과 방어 능력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며 깊은 우려를 표했다. 이번 사태는 지난 6월 13일 이스라엘이 ‘라이징 라이언 작전(Operation Rising Lion)’을 통 2025-07-07 08:00:00
  • 트럼프, 머스크 신당 창당에 목소리…"혼란만 가중, 터무니없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최근 신당 창당을 발표한 것을 두고 비판을 가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미국 뉴저지주에서 백악관으로 돌아오기 전 취재진에게 "제3정당을 창당한다는 것은 터무니없는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제3의 정당을 창당하는 것은 혼란을 가중할 뿐이다. 그는 그게 재밌다고 할 수 있지만, 나는 터무니없는 일이라고 본다"고 덧붙였다. 앞서 머스크 CEO는 지난 5일 자신의 사회관계 2025-07-07 07:33:23
  • [속보] 트럼프, 머스크 '신당창당'에 목소리…"터무니없는 일" 트럼프, 머스크 '신당창당'에 목소리…"터무니없는 일" 2025-07-07 06:48:17
  • [속보] 트럼프 "12~15개국에 7일 관세 서한 발송할 수 있어" 트럼프 "12~15개국에 7일 관세 서한 발송할 수 있어" 2025-07-07 06:46:51
  • 美 재무 "협상 진전 없는 국가들에 오는 8월1일부터 상호관세 재부과"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이 협상 진전이 없는 국가들에 그동안 유예해온 상호관세를 오는 8월1일부터 재부과하겠다는 입장을 재차 밝혔다. 베선트 장관은 6일(현지시간) CNN과 인터뷰에서 오는 8일 상호관세 유예가 끝나면 어떻게 되냐는 질문에 "우리는 향후 72시간 동안 매우 바쁠 것"이라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리의 교역 파트너 일부에게 '너희가 협상을 진전시키지 않으면, 8월1일에 다시 4월2일 관세 수준으로 돌아갈 것'이라는 내용이 담긴 서한을 보낼 것이다. 그래 2025-07-07 06:12:25
  • 정부, 美에 "車 운반선 입항 수수료 타깃서 한국은 빼달라" 정부가 외국에서 건조한 자동차 운반선에 대한 미국 입항 수수료를 한국은 제외해달라고 미국 정부에 요청했다. 7일(현지시간) 미국무역대표부(USTR)에 따르면 한국 산업통상자원부와 해양수산부는 이러한 공식 입장이 담긴 의견서를 USTR에 지난 4일 제출했다. 앞서 USTR이 지난 4월 17일 중국의 조선·해운 산업 지배를 막고, 미국 조선업을 재건하기 위해 발표한 정책 중 외국에서 건조한 자동차 운반선에 부과하는 입항 수수료에 관한 내용을 밝혔기 때문이다. USTR은 오는 10월 14일부터 중국 해운사가 운 2025-07-07 06:01:15
  • OPEC+, 내달부터 하루 원유 54만8000배럴 증산 합의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주요 산유국 연합체인 OPEC+가 다음달부터 하루 원유 생산량을 54만8000배럴 늘리기로 5일(현지시간) 합의했다. 6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번 증산량은 전세계 원유 생산량의 약 0.5%에 달한다. OPEC+ 8개국은 시장 상황에 따라 증산은 일시 중단되거나 되돌릴 수 있다고 밝혔다. 이번 합의로 유가 하락이 예상된다. S&P는 올해 말과 내년까지 브렌트유 가격이 배럴당 50∼60달러 수준으로 떨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또 서부 텍사스산 중질유(WTI)는 배럴당 50달러를 2025-07-06 18:58:43
  • 이시바 "동맹국이라도 할 말 해야…협상 어렵지만 타협 안 할 것" 일본이 오는 8일(현지시간) 종료되는 상호관세 유예 시한을 앞두고 미국의 압박에도 관세 협상에서 물러서지 않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분명히 했다. NHK 등 일본 언론은 6일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이 오는 8일 종료되는 미·일 상호관세 유예 시한을 앞두고 최근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과 두 차례 전화 통화를 갖고 관세 문제를 논의했다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해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이날 NHK의 여야 당수 토론 프로그램에 출연해 아카자와 경제재생상과 러트닉 상무장관 간 전화 통화가 있었 2025-07-06 17:34:19
  • 베트남, 2분기 7.96% 급성장...美관세 이전 수출 '막차효과' 베트남이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 부과 이전 수출에 집중하면서 올해 2분기(4~6월) 경제가 8% 가까이 가파르게 성장했다.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 예고에 따른 수출 ‘막차 효과’가 주된 배경으로 분석되는 가운데 최근 미국과 베트남은 무역협상을 타결했다. 6일(현지시간) 블룸버그·AFP 통신과 관영 베트남뉴스통신(VAN)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베트남 국내총생산(GDP)은 전년 동기보다 7.96% 성장했다고 베트남 통계청(GSO)이 전날 발표했다. 이는 1분기 성장률 7.05%과 블룸버그 2025-07-06 17:09:48
  • 머스크, 신당 창당 선언…美 정치판 '제3당 실패론' 직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최측근에서 새로운 정적으로 돌아선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신당 창당을 선언했지만, 현실 정치에서는 쉽지 않은 도전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머스크는 5일 소셜미디어 X(옛 트위터)에 "오늘 '아메리카당(미국당)'이 여러분들에게 자유를 돌려주기 위해 창당된다"며 "낭비와 부패로 우리나라를 파산시키는 일에 대해 말하자면 우리는 민주주의가 아닌 '일당제' 속에 살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자신의 정치 전략과 관련해 &q 2025-07-06 16:57:45
  • 日 도카라열도서 규모 5.4 지진…'7월 대지진설' 재차 주목 지난달 21일부터 지진이 빈발해 온 일본 가고시마현 도카라 열도에서 6일 지진이 또 발생했다. 일본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 7분쯤 도카라 열도 근해에서 규모 5.4로 추정되는 지진이 일어났다. NHK는 “지난달 21일부터 이날 오전 11시까지 도카라 열도 근해에서 발생한 진도 1이상 지진은 1432회에 달한다”고 보도했다. 도카라 열도에서는 2021년 12월과 2023년 9월에도 각각 300회 넘는 소규모 지진이 연이어 일어난 바 있으나 이번 지진은 기존 군발지진 횟수를 훨씬 웃돌고 있다. 2025-07-06 16:03:01
  • 트럼프, 상호관세 유예 마감 기한 앞두고 막판 압박...韓·日·EU 긴장 고조 미국과 주요 교역국 간 상호관세 유예 종료 시한인 오는 8일(현지시간)을 앞두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인상을 경고하며 압박 수위를 끌어올리고 있다. 유예 연장 여부가 불확실한 가운데 각국은 막판 협상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앞서 4일 AFP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나는 서한 몇 통에 서명했고 그 서한들은 월요일에 발송될 예정이고 아마도 12(통이 될 것)”라고 말했다. 그는 구체적인 관세율 등을 언급하지 않았지만 각국에 책정된 상호관세율이 10~20% 수준에서 높게는 6 2025-07-06 16:01:01
  • 트럼프 골프장 '비행제한구역'에 또 민간 항공기 진입…F-16 출격 민간 비행기가 비행제한구역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소유의 골프장 상공을 침범하자 미군 F-16 전투기가 출격했다고 5일(현지시간) 미 폭스뉴스 등이 보도했다. 미군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NORAD)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40분께 한 비행기가 뉴저지주(州) 베드민스터에 위치한 트럼프 대통령의 골프장 상공을 비행했다. 현장에 출동한 F-16 전투기는 민간 비행기를 제한 구역 밖으로 유도했다. NORAD는 이날에만 베드민스터의 비행 제한 구역을 어긴 사례가 5차례나 발생했다고 밝 2025-07-06 15:42:45
  • 푸틴 "전쟁 계속"…트럼프, 우크라에 패트리엇 지원 시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 대공 미사일인 패트리엇을 지원할 수 있다고 시사했다. 휴전안을 거부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는 추가 제재 가능성을 언급하며 압박했다. 5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대통령 전용기에서 취재진과 만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좋은 통화’를 했다고 밝혔다. 그는 젤렌스키 대통령이 요청한 패트리엇 추가 지원 여부에 대해 “우크라이나는 방어를 위해 그것(패트리엇 미사일)들이 필요할 2025-07-06 15:17:07
  • 트럼프, 국정의제 핵심법안 서명에 반발 확산…美 전역 시위·머스크 신당 창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신의 집권 2기 핵심 국정과제인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ne Big Beautiful Bill Act·OBBBA)’에 서명한 가운데 미국 내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미국 전역에서는 트럼프 행정부에 반대하는 시위가 잇따랐고, '트럼프 2기 실세'로 꼽혔던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신당 창당을 전격 선언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4일(현지시간) 서명한 이 법안은 2017년 1기 행정부 때 도입된 감세 조치를 영구화하는 내용을 핵심으로 하는데, 감세 규모가 무려 4 2025-07-06 14:58: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