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화證 "쎄트렉아이, 위성 영상 사업 수주 기대…목표가 상향" 한화투자증권은 22일 쎄트렉아이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기존 6만5000원에서 9만원으로 상향했다.위성 영상 사업 수주 확대에 따라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는 이유에서다. 한화투자증권은 쎄트렉아이의 올해 3분기 매출액을 전년 동기 대비 15.9% 증가한 506억원, 영업이익을 247% 늘어난 27억원으로 추정했다. 배성조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회사가 5개 분기 연속 연결 영업이익 흑자를 달성할 전망”이라며 “자회사 SIA의 영업적자는 상반기와 유사한 14억원 수준으로 추정 2025-09-22 08:41
-
신한證 "알테오젠, 첫 마일스톤 4분기 인식 전망…목표가 73만원" 신한투자증권은 22일 알테오젠에 대해 '키트루다 피하주사(SC)'에 대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으로 매출과 이익 성장 폭이 클 것으로 전망했다.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73만원을 각각 유지했다. 엄민용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 20일 한국 바이오 역사상 최초로 국내 플랫폼이 전세계 매출 1위 블록버스터 의약품에 장착돼 FDA로부터 승인을 획득했다"며 "출시도 10월 1일이 아닌 9월 말이고, 유럽도 내년 상반기에서 반기 빨라진 4분기 승인 예정으로 전세계 승인도 마무 2025-09-22 08:41
-
iM證 "루닛, 글로벌 공공의료 수주 잇따라…AI 기업 성장 가속" iM증권은 22일 루닛이 글로벌 공공의료 사업 수주를 기반으로 의료용 인공지능(AI) 기업으로서 성장세를 확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는 별도로 제시하지 않았다. 이상헌 iM증권 연구원은 "루닛은 이탈리아 주요 지방보건국(ASL) 11곳에 AI 암진단 솔루션을 공급한 데 이어 연내 추가 계약도 기대된다"며 "스페인 발렌시아주 정부의 유방암 검진 프로그램 독점 공급 계약, 프랑스 공공병원 구매협동조합 유니하(UniHA) 입찰 선정 등으로 유럽 내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2025-09-22 08:15
-
[규제 도마에 오른 사모펀드] 위기감 커지는 국내 PEF 업계 MBK발 이슈는 '토종' 사모펀드(PEF) 전반에 위기감을 키우고 있다. 특히 토종 PEF가 집중하고 있는 중형 인수합병(M&A) 시장에서 외국계 사모펀드의 존재감이 커지는 추세와 맞물려 토종 운용사 입지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도 크다. 21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올해 EQT파트너스, 워버그핀커스, KKR, 힐하우스 등 글로벌 운용사들은 중소형과 중형 딜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스웨덴 계열 사모펀드 EQT파트너스의 움직임이 두드러진다. 최근 명함 앱 ‘리멤버’ 운영사 드라마앤컴퍼니 지분 2025-09-21 18:00
-
[규제 도마에 오른 사모펀드] "중대법규 위반하면 바로 퇴출"...MBK발 규제도입 어떻게? 사모펀드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커지면서 정부 차원에서 '규제 강화' 움직임도 본격회되는 분위기다. 당초 여당(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의원) 측 규제 입법에 난색을 표했던 금융위원회 내 기류 변화도 감지된다. 21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실에 따르면 한국금융연구원은 금융위 의뢰를 받아 '해외 기관투자 사모집합투자기구(PEF) 규율체계 연구'하는 보고서를 작성했다. 이번 의뢰는 홈플러스 사태가 발생한 지난 3월 말 금융위가 금융연구원에 맡겼다. 보고서에서 금융연구원은 2025-09-21 18:00
-
[규제 도마에 오른 사모펀드] 론스타부터 MBK까지…떼어지지 않는 '투기자본' 꼬리표 한국 자본시장에 토종 사모펀드(ETF)가 등장한 건 2004년 12월이다. 미래에셋 계열 자산운용사가 만든 1000억원 규모 PEF였다. 이후 PEF는 자본시장을 넘어 산업 재편 과정에서 혁혁한 역할을 해냈다. 규모도 커졌다. 지난 20년간 국내 PEF 약정액은 340배, 운용사 숫자는 10배 이상으로 급증했다. 특히 2010년을 전후해 인수합병(M&A) 시장은 PEF를 빼놓고는 작동하지 않을 정도로 영향력을 키웠다. 자본시장에 활력을 불어넣는 '마중물'이라는 평가도 많았다. 이에 2000년대 초반 론스타 등 일부 외국계 PEF의 2025-09-21 17:58
-
[규제 도마에 오른 사모펀드] 340배 커진 PEF...투기자본 논란도 커졌다 국내 사모펀드(PEF)가 올해로 제도 도입 20년을 맞은 가운데 PEF를 둘러싼 논란이 커지고 있다. 굵직한 인수합병(M&A)을 통해 산업재편 및 자본시장 활성화에 마중물 역할을 해왔지만 최근 순기능보다는 '투기자본'이란 지적이 많다. 홈플러스·롯데카드 사태를 둘러싼 MBK파트너스 책임론이 논란의 불씨를 키웠다. 정치권과 정부 차원에서 규제를 강화할 움직임도 본격화되는 추세다. 2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내 PEF에 대한 정부와 정치권의 규제 도입이 속도를 내고 있다. 올해 초 홈플러스 2025-09-21 17:31
-
코스콤-한국거래소, 증권사·조각투자사와 유통플랫폼 '맞손' 코스콤과 한국거래소가 증권사 및 조각투자사와 협력해 조각투자 유통 플랫폼 구축에 나선다. 조각투자를 둘러싼 발행 및 유통 인가가 이제 막 법제화 단계에 들어선 가운데 코스콤-한국거래소 연합군이 1호 사업 인가를 받을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다. 2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코스콤은 한국거래소와 함께 조각투자 유통 투자중개업 인가에 도전한다. 두 회사는 컨소시엄 구성을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컨소시엄에는 코스콤과 토큰증권 관련 업무협약을 맺은 7개 증권사(키움·대신·IBK투자&mid 2025-09-21 17:29
-
증시 기대감에 펀드도 '쑥'…주식 섞인 신규 펀드 8년 내 최대 국내 증시 기대감이 커지면서 올 들어 주식이 포함된 펀드(주식+혼합형)의 신규 설정 규모가 8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단기금융형(MMF) 펀드와 혼합형 펀드의 약진이 두드러지며 전체 신규 펀드 또한 최근 5년 새 가장 크게 늘어났다. 21일 금융투자협회 집계에 따르면 올해 1월 1일부터 9월 19일까지 주식이 섞인 펀드의 신규 설정 규모는 3조629억원으로 2017년 이후 8년래 최대치를 기록했다. 연말까지 남은 기간을 고려하면 규모는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유형별로 보면 주식형 펀드 신규 설정액은 1조7 2025-09-21 17:28
-
코스닥 시총 증가 10위 중 6개 '기술특례상장'…스피어 470%로 최고 코스닥 시장에서 연초 대비 시가총액 증가율 상위 10개 기업 가운데 6곳이 기술특례 상장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장 당시 적자 상태였지만 기술력을 인정받아 증시에 입성한 뒤, 실적 개선과 사업 성과를 통해 주가가 가파르게 상승했다. 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7일 기준 거래정지 종목을 제외한 코스닥 상장사 중 시총 증가율 상위 10위권을 기술특례상장기업이 휩쓸고 있다. 코스닥 상장기업별 시총 증가율은 △SGA(1124.91%) △스피어(470.34%) △씨어스테크놀로지(468.40%) △올릭스(362.05%) △SAMG엔터(361.0 2025-09-21 17:27
-
현대차·기아, 기관은 던지고 개인은 담았다…관세 불확실성에 주가 흔들 국내 주식시장에서 기관투자자들은 현대차와 기아 주식을 대규모로 팔아치운 반면 개인투자자들은 정반대 행보를 보였다. 업계에서는 미국 관세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는 한 주가 반등이 쉽지 않다는 전망이 나온다. 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일주일 동안 기관투자자는 현대차 주식 1565억원, 기아 주식 1089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순매도 규모 기준으로 두 종목은 전체 상장 종목 가운데 나란히 1위와 2위를 기록했다. 특히 기관 중에서는 연기금의 매도세가 두드러졌다. 연기금은 같은 기간 현대차 696억원, 기아 2025-09-21 12:54
-
[주간증시전망] 코스피, 차익실현 VS 금리 모멘텀…'풍향계' 마이크론 실적도 주목 차주 국내 증시는 단기 급등으로 인한 경계감이 나타날 전망이다. 또 메모리 업계 '풍향계' 마이크론테크놀로지의 실적 발표도 이목이 쏠릴 것으로 예상된다. 2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코스피지수는 전장 대비 16.06포인트(0.46%) 내린 3445.24에 마감했다. 한 주 동안 코스피는 1.46%, 코스닥은 1.89% 올랐다. 특히 코스피는 3460선도 돌파해 사상 최고가를 재차 경신했다. 정부의 주식 양도소득세 대주주 요건 유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와 함께 반도체 업종 주가가 2025-09-20 06:00
-
반도체·소부장株 강세 속 대차잔고 급증…단기 변동성 경고등 반도체 대형주 훈풍이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종목으로도 번진 가운데 대차잔고가 빠르게 불어나고 있다. 대차잔고 증가는 공매도 가능 물량 확대를 의미해 단기적으로 주가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대차잔고는 공매도 거래가 재개된 3월말 6조5422억원에서 18일 기준 7조7229억원으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SK하이닉스의 대차잔고는 3조5319억원에서 9조3161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대차거래는 투자자가 다른 투자자에게 일정한 수수료를 받고 주식을 빌려주 2025-09-19 16:40
-
한국거래소, 내달 27일부터 FICC 파생상품시장 개장시각 15분 앞당겨 한국거래소가 다음달 27일부터 미국 달러선물 및 금 선물 등이 거래되는 FICC(채권·외환·원자재) 파생상품시장 개장 시각을 오전 9시에서 8시 45분으로 15분 앞당긴다고 19일 밝혔다. 이날 파생상품시장 업무규정 시행세칙 개정을 예고한 후 10월 27일 시행 전까지 개정과 관련해 시장참가자 의견수렴 등을 거칠 예정이다. 현물시장 개장 전에 발생한 국내·외 이벤트를 파생상품 가격에 먼저 반영시킴으로써 현물 투자자가 다양한 예측이 미리 반영된 파생상품 가격을 지표로 거래할 수 있도록 지 2025-09-19 16:18
-
[마감시황] 코스피, 장중 사상 최고치 기록 후 0.46% 밀려…코스닥 0.7%↑ 외국인과 기관의 순매도세에 코스피는 장중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후 3440대로 밀렸다. 삼성전자는 장 초반 8만1200원까지 올랐다가 1% 가까이 하락세로 장을 마쳤다. 코스닥은 0.7% 강세로 마감했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16.06포인트(0.46%) 내린 3445.24에 장을 마쳤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0.07포인트(0.00%) 내린 3461.23에 출발해 개장 직후 반등하며 3467.89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이내 하락 전환해 낙폭을 키웠다. 이날 코스피에서 개인은 5350억원어치의 주식을 2025-09-19 16:09
-
[속보] 코스피, 16.06p(0.46%) 내린 3445.24 마감 코스피, 16.06p(0.46%) 내린 3445.24 마감 코스닥, 6.00p(0.70%) 오른 863.11 마감 2025-09-19 15:34
-
[특징주] KT 사태에 보안株 강세 최근 연이어 발생한 개인정보 유출 사고로 보안주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관련 종목들이 코스닥 시장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10시 53분 기준 싸이버원은 전 거래일 대비 945원(24.61%)에 거래되고 있다. 장중에는 4990원까지 오르며 상한가를 기록하기도 했다. 같은 시간 지니언스는 12.66% 올랐고, 한컴위드 역시 14.20% 상승세를 나타냈다. 포커스에이아이도 5.28%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보안 관련 종목이 일제히 강세를 보이는 배경에는 최근 발생한 대형 정보 유 2025-09-19 10:56
-
[특징주] 호텔신라, 인천공항 면세점 사업 철수 결정에 강세 호텔신라가 인천공항 면세점 사업을 철수하기로 결정하면서 주가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26분 기준 호텔신라는 전 거래일 대비 3500원(6.60%) 오른 5만6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호텔신라는 전날인 18일 이사회를 열고 신라면세점의 인천공항 면세점 DF1권역 사업권을 반납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영업정지금액은 4293억원으로 지난해 호텔신라 연결 기준 매출액 3조9475억원의 10.9% 규모다. 호텔신라는 "지난 2023년 인천공항 면세점 운영 사업권 계약 이후 면 2025-09-19 09: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