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뉴스
-
[NNA] 中 상반기 평균가처분 소득 5.3%↑ 2.2만 위안 올해 상반기 중국의 1인당 평균 가처분소득이 2만 1840위안(약 45만 엔)으로 전년 동기 대비 5.3% 증가했다. 중국국가통계국은 2025년 1~6월 전국 1인당 평균 가처분소득이 전년 동기 대비 5.3%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물가 변동을 제외한 실질 증가율은 5.4%로, 1분기(5.6%)보다는 소폭 둔화됐다. 수입원별로는 임금소득이 1만 2628위안으로 5.7% 증가하며 전체의 57.8%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도시 지역이 2만 8844위안으로 4.7% 증가했으며, 농촌 지역이 1만 1936위안으로 5.9% 증가했다. 실질 증가율은 각각 4.7%, 6.2%였다. 도 2025-07-22 16:02
-
[NNA] NEC, 통화 시스템 신기종 출하 개시 NEC 산하 정보기기 제조업체인 NEC플랫폼즈 태국이 중소규모 사업장을 대상으로 한 신규 통화 시스템 ‘유니버지 아스파이어(UNIVERGE Aspire) 6’의 출하를 시작했다. NEC플랫폼즈 태국은 태국 파툼타니주에서 ‘아스파이어6’ 출하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신제품은 온프레미스(자체 보유) 시장에서 갱신 수요가 있는 고객을 겨냥해 부가가치를 높인 모델로, 품질과 확장성이 높으며 스팸 전화 차단과 보안 기능을 갖춘 음성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NEC의 클라우드 서비스 ‘유니버지 블루(UNIVE 2025-07-22 15:42
-
[NNA] 캄보디아 對中교역 93억 달러… 78억 달러 적자 올해 상반기 캄보디아와 중국 간 교역액이 93억 달러에 달했으나, 캄보디아의 무역수지는 78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캄보디아 관세소비세총국(GDCE)에 따르면, 2025년 1~6월 양국 간 교역액은 전년 동기 대비 26.9% 증가한 92억 8000만 달러(약 1조 3600억 엔)였다. 무역수지는 캄보디아가 77억 7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 적자 축소를 위한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고 프놈펜포스트(온라인)가 보도했다. 세부적으로 캄보디아의 대중국 수출액은 7억 5062만 달러로 전년 대비 7.9% 증가하는 데 그친 반면, 수입액은 31.2% 늘어난 85 2025-07-22 15:19
-
[NNA] 코스타커피 지난 연도 印 시장 두 자릿 수 성장 영국 커피 체인 코스타커피의 인도 사업이 2024/25회계연도(2024년 4월~2025년 3월) 실적에서 두 자릿수 매출과 순이익 성장을 기록했다. 인도에서 외국계 패스트푸드점을 프랜차이즈 방식으로 운영하는 데비야니 인터내셔널(DIL)은 연차보고서를 통해 코스타커피 인도 사업의 2024/25회계연도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0.8% 증가한 19억 8500만 루피(약 34억 엔), 순이익이 28.4% 늘어난 14억 9700만 루피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실적 호조는 점포 확대가 주도했다. 같은 기간 매장 수는 전년 대비 22.9% 증가한 220곳으로 늘었다. 2025-07-22 15:09
-
[NNA] 베트남 닌빈성에 국제공항 건설 추진 베트남 건설부가 북부 닌빈성에 국제공항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성 내 전담팀을 구성해 정부 및 지방 당국과의 협의를 강화하고 있다. VN 익스프레스가 보도했다. 닌빈성은 현재 국가 공항 개발계획상 12개 건설 후보지에 포함돼 있지 않다. 다만 구 남딘성과 구 하남성과의 통합으로 지리적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향후 북부 지역의 주요 항공 거점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건설부는 정부에 닌빈성 인민위원회가 사업화 타당성 조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지시해줄 것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건설부는 닌 2025-07-22 11:58
-
[NNA] 홍콩정부, SIM카드 실명 등록제 강화 나서 홍콩 정부가 휴대전화용 SIM카드의 실명 등록제 강화에 나선다. 휴대전화를 이용한 사기 범죄가 끊이지 않는데 따른 조치로, 개인의 선불식 SIM카드 등록 한도를 낮추고, 타인 명의 SIM카드 다량 보유에 대한 처벌을 도입한다는 방침이다. 홍콩 상무경제발전국 등이 입법회(의회)에 제출한 문서에 따르면, 통신사별 개인의 선불식 SIM카드 등록 상한은 기존 10장에서 3장으로 축소된다. 현재 선불식 SIM카드 판매 라이선스를 보유한 통신사는 29곳이며, 개인이 등록할 수 있는 전체 SIM카드 한도도 기존 290장에서 87장으로 줄어든 2025-07-22 11:40
-
[NNA] 페덱스, 싱가포르에 라스트마일 자율형 배송 로봇 도입 미국 물류 기업 페덱스의 항공화물 부문인 페덱스 익스프레스가 싱가포르 현지 스타트업 퀵봇 테크놀로지스와 손잡고 상업지구에서 자율형 배송 로봇을 도입했다. 이는 라스트마일(물류 최종 구간) 배송의 비효율성과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다. 배송 방식은 페덱스 익스프레스 배달원이 빌딩 내 퀵봇 거점에 물품을 전달하면, 퀵봇 직원이 이를 전용 상자 ‘퀵박스(QuickBox)’에 적재하고, 인공지능(AI)으로 제어되는 배송 로봇이 각 층으로 물품을 전달하는 구조다. 로봇은 빌딩 내 전용 모델인 ‘퀵 2025-07-21 16:28
-
[NNA] 캄보디아 에어포츠, 프놈펜 신공항 운영 맡는다 캄보디아 주요 2개 공항을 운영하는 캄보디아 에어포츠(SCA)가 수도 프놈펜 인근에 건설된 테초 국제공항의 운영을 담당한다. SCA의 모회사인 프랑스 공항 운영 기업 방시 에어포츠는 테초 국제공항 개발 주체인 캄보디아 에어포트 인베스트먼트(CAIC)와 관리 서비스 계약(MSA)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SCA는 1995년 7월 6일 프놈펜 국제공항 운영을 시작하며 캄보디아 공항 운영에 진출했으며, 현재 프놈펜 국제공항과 남부 시아누크빌 국제공항을 운영 중이다. 프놈펜 국제공항은 테초 국제공항이 오는 9월 9일 개항함에 따라 9 2025-07-21 15:41
-
[NNA] 메르세데스, 印 시장 2분기 판매 10%↑ 자동차 제조사 메르세데스 벤츠 인디아는 올 2분기 인도 시장 판매 대수가 전년 동기 대비 10% 증가한 4238대로 2분기 기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핵심 세그먼트와 최고급 세그먼트의 판매 호조가 실적을 이끌었다. 메르세데스가 최고급 세그먼트로 분류하는 S클래스, 메르세데스-마이바흐 나이트, AMG, 전기차(EV) 모델 EQS 시리즈 등의 판매는 전년 동기 대비 20% 증가했다. 특히 ‘AMG GT 63 프로’는 올해 인도 내 판매 예정 물량이 이미 모두 완판됐다. 전체 판매의 약 60%를 차지하는 핵심 세그먼트( 2025-07-21 15:30
-
[NNA] 베트남 상반기 공공투자 목표 대비 33%…저조한 집행률 베트남 재무부가 발표한 2025년 상반기(1~6월) 국가 재정 수지 보고서에 따르면, 공공투자 집행액은 268조 동(약 1조 5000억 엔)으로 연간 목표 대비 33%에 그치는 등 여전히 저조한 수준을 보였다. 사이공자이퐁 온라인이 보도했다. 재무부는 공공투자 촉진을 위해 각 부처 및 중앙·지방 기관의 집행계획 배분안을 팜 민 찐 총리에게 제출한 상태다. 상반기 국가 수입은 1300조 동 이상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 증가, 연간 목표의 68%를 조기 달성했다. 세부적으로 국내 수입이 약 1200조 동(33% 증가), 원유 수입은 25조 2025-07-21 14:34
-
[NNA] 대만 6월 증권거래세 4개월 연속 감소…세수 전반도 급감 대만 재정부가 발표한 올 6월 세수 실적(잠정치)에 따르면, 주식 매매에 부과되는 증권거래세는 225억 대만달러(약 1125억 엔)로 전년 동월 대비 18.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4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금액으로는 50억 대만달러 줄었으며, 1~6월 누계는 전년 동기 대비 19.3% 감소한 1155억 대만달러였다. 6월 상장·장외시장 하루 평균 거래대금은 4328억 대만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22.9% 줄었다. 6월 한 달간 전체 세수는 4038억 대만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50.0% 감소했다. 중앙통신사에 따르면, 이 2025-07-21 11:11
-
[NNA] AWC, 방콕에 공룡 테마파크 8월 개장 태국의 재벌기업 TCC그룹 계열 부동산 지주회사인 에셋 월드 코프(AWC)는 방콕에 공룡 테마파크 ‘쥬라기 월드: 더 익스피리언스’를 오는 8월 8일 개장한다고 발표했다. 이 테마파크는 차오프라야강 인근 관광 명소인 ‘아시아티크 더 리버프런트 데스티네이션’ 부지 내 6000㎡ 규모로 들어선다. 원작의 세계관을 재현한 몰입형 어트랙션을 비롯해 음식점, 한정판 기념품 숍 등이 함께 운영된다. 입장권은 지난 11일부터 일반 판매를 개시했으며, 요금은 11세 이상 769바트(약 3450엔), 3~10세 어린이는 57 2025-07-21 10:59
-
[NNA] 싱가포르 직장인 절반 "에어컨 24도 선호" 싱가포르 사무실의 에어컨 온도가 대체로 21~22도로 설정돼 있지만, 직장인 약 절반은 24도 안팎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싱가포르 지속가능성환경부와 싱가포르 그린 빌딩 위원회(SGBC)가 공동으로 실시한 실내 쾌적성 조사 ‘Go25 인도어 컴포트 스냅샷’ 결과, 응답자의 49.0%가 선호 온도로 ‘24~25도’를 꼽았다. 이어 ‘22~23도’(31.1%), ‘21도 이하’(11.7%), ‘26도 이상’(8.1%)의 순이었다. 조사는 지난 5월 초 에어컨이 가동되는 환경에서 근무하는 싱가포 2025-07-21 10:49
-
[NNA] 필리핀 에너지부, 천연수소 탐사 사전조사 착수 필리핀 에너지부는 루손섬 잠발레스주와 팡가시난주에서 천연수소 탐사 입찰 개시를 위한 예비조사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에너지부 기술팀은 현지 지질·환경 데이터를 수집했으며, 열수 분출이나 오피올라이트(해양지각과 맨틀이 지표로 노출된 지질 구조) 형성 등 천연수소 생성과 관련된 정보를 확보했다. 이는 향후 탐사 활동의 리스크 완화와 기술적 조사의 효율화, 안전·환경 기준 준수 등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현지 언론 스타 등에 따르면 천연수소 탐사 입찰은 2024년 8월 실시됐으며, 두 2025-07-21 10:16
-
[NNA] 말레이시아 5월 실업률 3.0% 말레이시아 통계국은 5월 실업률(잠정치)이 3.0%로 전월과 동일했다는 노동력 통계를 발표했다. 이는 지난달 기록했던 10년 만의 최저 수준을 유지한 것이다. 5월 기준 노동력 인구(구직자 포함)는 전월 대비 0.2% 증가한 1738만 4800명이었다. 이 중 취업자 수는 1686만 2400명(0.3% 증가), 실업자는 52만 2400명(0.7% 감소)으로 집계됐다. 생산가능인구(15~64세) 중 노동력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노동참가율은 70.8%로 전월과 동일했다. 한편 주부·학생 등 비경제활동인구는 전월 대비 0.1% 증가한 717만 680 2025-07-18 12:44
-
[NNA] 日 나가노 마쓰모토공항, 6년 3개월 만에 한국 직항편 운항 일본 나가노(長野)현은 마쓰모토(松本)공항과 한국 청주국제공항을 연결하는 국제 전세기가 9월 운항된다고 밝혔다. 마쓰모토공항의 한국 직항편 운항은 2019년 6월 이후 약 6년 3개월 만이다. 운항은 한국 저비용항공사(LCC) 에어로케이가 맡으며, 기종은 에어버스 A320-200이다. 9월 13일과 16일 각각 왕복 1편씩 운항할 예정이다. 이번 전세기 운항은 나가노현이 마쓰모토청년회의소(JC)와 협력해 유치한 것으로, 청년회의소는 이를 계기로 서울과 경상북도 안동을 방문하는 3박 4일 단체 관광상품을 운영할 계획이다. 2025-07-18 12:36
-
[NNA] 현대車 인도법인, 수소 연구개발 거점 디자인 공개 현대자동차의 인도 자회사 현대 모터 인디아(HMIL)가 인도 남부 타밀나두주에 설립할 그린수소 연구개발(R&D) 거점의 디자인을 공개했다. 총 사업비는 18억 루피(약 31억 엔)이며, 2026년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신규 거점의 명칭은 ‘현대 HTWO 이노베이션 센터’로, 인도공과대학(IIT) 마드라스 캠퍼스에 설치한다. 연면적은 약 6,000㎡로, 수소 인프라·전해조·연료전지 연구를 위한 첨단 실험시설이 들어설 예정이다. 김은수 HMIL 사장은 발표 자료를 통해 “현대차에게 수소는 탄소중립 2025-07-18 12:22
-
[NNA] 에어아시아, 태국-수라바야 노선 취항 말레이시아계 저비용항공사(LCC) 인도네시아 에어아시아는 오는 10월 인도네시아 제2도시 동자바주 수라바야를 발착지로 하는 신규 노선에 취항한다. 국제선으로는 태국 방콕 돈므앙 공항과 수라바야를 잇는 노선이 10월 2일 운항을 시작한다. 주 4회(화·목·금·일) 왕복 1편씩 운항할 예정이다. 에어아시아에 따르면, 올해 1~6월 인도네시아 각 도시에서 방콕으로 이동한 승객 수는 31만 명을 이상이었다. 국내선도 새롭게 운항된다. 수라바야-발릭파판(동칼리만탄주) 노선이 매일 1회 왕복 운항되며, 발릭 2025-07-18 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