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정보통신)를 중심으로 한 산업간 융합이 본격적으로 진행된다.
이에 따라 원자재값인상과 환율 등 외부요인으로 다소 주춤했던 자동차, 조선, 건설 등의 기간산업과 IT가 결합한 융합기술개발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지식경제부(장관 이윤호)는 자동차, 조선, 국방, 건설, 의료 등 우리나라의 5대 주력산업과 IT의 융합 기술개발을 위해 올해 총 706억원을 투자하는 31개 국책 연구과제를 본격 착수한다고 31일 밝혔다.
이에 따라 IT 확산을 통해 기간산업의 경쟁력 제고와 IT기반 융합 신산업을 창출하기 위한 전략 등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진행된다.
지경부는 기존에 정통부와 산자부로 나눠져 있던 IT산업과 기간산업 육성 업무가지식경제부로 통합됨에 따라 더욱 효율적인 업무추진이 가능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5대 주력산업과 IT간 융합기술 R&D 주요 과제〉
![]() |
||
지경부가 발표한 5대 주력산업 기술개발 과제는 ‘자동차 통합제어 소프트웨어(SW) 플랫폼’ ‘IT기반 선박용 토탈 솔루션’ ‘원격로봇 영상유도시스템’ ‘THz(테라헤르츠) 내시경’ ‘건설-IT 융합기술’ 등 이다.
이 가운데 ‘자동차 통합제어 소프트웨어(SW) 플랫폼’은 자동차에 부착되는 전자부품들을 통합 제어할 수 있는 장치로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현대자동차가 공동으로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는 ‘자동차 통합제어 소프트웨어(SW) 플랫폼’ 개발 성공시 연간 1500억원 규모의 매출을 예상하고 있다.
‘IT기반 선박용 토탈 솔루션’은 선박의 철재구조물 등에 전자태그(RFID)와 위치추적 기능을 부착해 선박건조과정을 최적화하는 선박구조물 통합관리 시스템이다.
평균 80km에 달하는 통신선로를 재구성하고 일정부분 무선으로 대체할 수 있는 선박용 유무선 통신기술 개발해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기술로 개발시 연간 20억달러의 수출증대 효과가 예상된다.
또 ‘원격로봇 영상유도시스템’은 원격 로봇수술 시 안전하고 편안한 로봇 수술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정확한 영상정보를 확보하고, 이를 이용한 수술 로봇 팔 유도로 시술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 외에 ‘THz(테라헤르츠) 내시경’은 기존 광통신 기술을 접목해 분자크기의 암세포를 조기에 찾을 수 있고 X-ray와는 달리 인체에 무해한 내시경이며 ‘건설-IT 융합기술’은 벽지로 전자파/소음 제어뿐만 아니라 데이터 전송까지 가능한 기술이다.
지경부는 IT와 산업별 전문가가 참여하는 기술기획위원회를 통해 IT융합기술에 대한 중장기 청사진(로드맵)을 연내에 제시할 계획이며 ‘IT기반 융합 신산업 활성화 포럼’도 마련할 계획이다.
박용준 기자 sasori@ajnews.co.kr
< '아주뉴스'(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