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는 9일 지난 2분기에 전국 50개 이마트 표준 점포에서 판매된 2억1700만개의 상품을 분석한 결과 소비량의 증감을 나타내는 ‘이마트 지수’가 99.0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1분기(94.8)보다 4.2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이마트 지수가 상승한 것은 작년 1분기 이후 5분기 만에 처음이다. 지수가 100 이상이면 소비가 호전됐음을, 100 이하이면 악화했음을 나타낸다.
이로써 대한민국 소비심리가 본격적으로 회복될 것이란 기대감을 나타냈다.
특히 신세계는 의·식·주·문화생활 지수 등 4대 가계 생활 지수가 지난 분기 대비 모두 상승했다는 점에서 이번 소비심리 전환이 일시적이 아닌 구조적일 가능성이 크다고 풀이했다.
식생활 지수는 지난해 2분기 이후 처음으로 기준점인 100을 넘어 101.9를 기록했다. 문화생활 지수는 올 1분기 대비 6.2포인트 상승한 94.7을 나타내며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지난 1분기에 하락폭이 가장 컸던 의생활 지수는 2분기에 93.2로 4.4포인트 상승했고, 특히 지속적인 침체에 빠져 있던 신사복과 유아.아동 의류 지수가 1분기에 비해 큰 폭으로 올랐다.
아울러 TV, 세탁기, 냉장고 등 대표적인 가전 내구재의 소비 증가 추세가 돋보였다.
2분기의 냉장고 지수는 전분기 대비 18.2포인트 증가한 103.3이었고, TV와 세탁기 지수도 전분기 대비 각각 7.9포인트, 4.8포인트 오른 90.0과 80.1을 기록했다.
장중호 신세계 유통산업연구소 소장은 “식생활 지수뿐 아니라 경기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의생활, 문화생활 지수도 상승 반전했다”며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소비심리가 호전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아주경제= 박상권 기자 kwon@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