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금자리주택 가격경쟁력 갈수록 상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0-04-28 18:5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시범지구·위례신도시 보금자리 분양가보다 10~12% 상승 경기권 일부는 금융비용 감안때 기존 민영보다 비싸

(아주경제 유희석 기자) 보금자리주택이 분양 횟수를 더해갈 수록 분양가가 치솟는다. 따라서 가격경쟁력에서 민영주택의 추격을 불허하던 보금자리주택의 인기가 앞으로도 여전할 지가 의문시된다.

2차 보금자리주택의 사전청약의 뚜껑을 열어본 결과, 강남권 2곳의 분양가는 지난해 분양된 시범지구보다 3.3㎡ 당 최고 150만원 비쌌다. 또 경기권 4곳의 분양가는 주변 아파트 시세와 큰 차이가 없다. 사전청약 당첨자가 추가 지불할 금융비용을 감안할 경우, 인근 기존 아파트에 비해 오히려 아파트값이 높아질 가능성도 있다. 

28일 국토해양부가 발표한 2차 보금자리주택 사전예약 입주자 모집공고에 따르면 세곡2ㆍ내곡지구의 3.3㎡ 당 분양가는 1140만~1340만원으로 지난해 10월 실시된 시범지구나 지난 3월 위례신도시 보금자리주택 분양가보다는 지역별로 10~12% 정도 올랐다. 비슷한 입지의 시범지구 분양가보다 100만~150만원 가량 비싸다.

경기도 내 4곳의 보금자리주택지구 가운데 부천 옥길ㆍ시흥 은계는 3.3㎡ 당 분양가가 750만~890만원, 구리 갈매ㆍ남양주 진건지구는 850만~990만원이다.

분양가가 높아진 이유는 침체 부동산경기로 기존 아파트값이 약세인데다 보상 토지의 땅값이 오른 게 한 몫 했다. 또 지구별 용적률과 가용토지가 기존 단지와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강남권 2개 보금자리주택지구의 하나인 세곡2지구는 용적률이 132%로 보통 190% 이상인 다른 곳에 비해 상당히 낮다. 내곡지구는 토지 가용률이 42%로 다른 지구에 비해 10~20% 정도 낮다. 대신 녹지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 비싸진 아파트값은 토지비가 높아진 데 기인한다.

세곡2ㆍ내곡지구의 사업 시행자인 SH공사 관계자는 "용적ㆍ녹지율 등의 차이로 지난 시범지구 분양가와 차이가 발생했다"며 "지난 시범지구에 비해 사전예약 시기도 늦고 장수명 아파트, 에너지 효율 1등급 등을 적용하기 위한 비용도 포함됐다"고 분양가 상승 원인에 대해 설명했다.

이에 따라 이번 사전예약에서 가장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되는 세곡2ㆍ내곡지구 전용면적 85㎡(총 1068가구)의 분양가는 1가구당 4억3500만~4억6000만원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주변지역 아파트 시세가 3.3㎡당 2000만원 초반인 점을 감안하면 2억원 이상 저렴하다.

경기권 2차 보금자리주택은 주변 시세와 분양가 격차가 크지 않다. 남양주 진건지구 분양가는 3.3㎡당 890만원 정도다. 인근의 남양주 도농동과 지금동의 평균 시세가 3.3㎡당 각각 1013만원, 1050만원인 것과 비교하면 100만원 가량 저렴하다. 그러나 당첨자가 향후 지불해야 하는 금융비용을 감안할 경우 인근 민영아파트에 비해 크게 싼 편이 아니다.

시흥 은계지구와 부천 옥길지구 주변에는 노후 단지가 많은 만큼 평균 시세가 보금자리주택 분양가와 똑같은 경우도 발생했다. 시흥시 은행동 평균 가격은 3.3㎡당 821만원으로 은계지구 최저 분양가 820만원과 비슷했다. 다만 주변 새 아파트 가격에 비해서는 어느 정도 가격 경쟁력이 있다. 부천 옥길지구도 주변 범박동, 소사본동의 아파트 시세인 978만~841만원과 비교해 크게 차이가 없었다.

   
 
 
xixilife@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