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소자특화팹, 고효율 저비용 태양전지 개발

우리나라 화합물반도체와 나노소자 분야 연구개발 지원을 위해 경기도와 교육과학기술부의 지원으로 설립된 나노소자특화팹센터(원장 고철기, www.kanc.re.kr, 이하 센터)이 국내 최고 효율을 가진 화합물반도체 태양전지를 개발했다.

7일 센터는 InGaP(인듐-갈륨-인 화합물)과 GaAs(갈륨-비소 화합물), Ge(게르마늄) 태양전지를 이용한 다중접합 구조의 ‘집광형 고효율 화합물반도체 태양전지’를 개발해 국내 최고 기록인 28.60%의 광전변환 효율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일반적으로 집광형 고효율 화합물반도체 태양전지는 이중접합이나 삼중접합의 다중접합 구조를 하고 있으며 이번에 개발된 태양전지는 삼중접합 구조이다.

센터는 지난해까지 III-V족 화합물반도체인 InGaP(인듐-갈륨-인 화합물)과 GaAs(갈륨-비소 화합물) 이중접합의 태양전지를 개발하여 왔으며 이중접합 세계 최고 기록1)(미국 NREL 연구소, 160배 집광시 효율 30.2%)에 근접하는 26.60%의 광전변환 효율 성과를 얻은 바 있다.

이번에 발표한 삼중접합 태양전지 효율은 집광전 측정 결과이며, 올해 집광이 가능한 전극 설계를 개발하여 삼중접합에서 집광 효율 35% 이상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news@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