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헌논쟁, 한나라 친이-친박 갈등 비화

(아주경제 박재홍 기자) 개헌 논의를 놓고 한나라당에서 친이(친이명박)-친박(친박근혜)간 갈등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5일 한나라당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당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개헌문제를 친이계와 친박계가 설전을 벌였다.
 
 당내 중진인 친박계 이경재 의원은 지난 3일 안상수 대표가 이회창 자유선진당 대표와 만나 개헌에 대해 논의한 사실과 관련해 “당 내에서 공식적으로 (개헌)문제를 제기하는 것이 먼저”라며 비판했다.
 
 이 의원은 "현재 이명박 대통령이 국가적 안보상황을 잘 처리해 지지율 50%에 이르는데 그 지도부가 제왕적 대통령을 고치자고 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다”며 “그렇다면 제왕적 대통령을 만든 것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재오 특임장관을 비롯해 안 대표가 분권형 대통령제로 개헌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데 대해 정면으로 반박한 것이다.
 
 이 의원은 또 “바이마르 공화국에서 이원집정부제를 만들었지만 오히려 히틀러 독재를 탄생시켰다”며 “분단 상황에 맞지도 않고 국민지지도 없는데 무엇으로 개헌을 추진하겠다는 것인지 궁금하다. 개헌 논의는 접어뒀으면 좋겠다”고 직접적으로 거부했다.
 
 이에 친이계인 정의화 전 국회 부의장은 “현재와 같은 국가운영은 물리적으로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는 과도한 업무로 부실하게 될 가능성이 굉장히 높다”며 “상생 정치로 바꾸기 위해서는 대통령에게 과도하게 권력이 집중된 구조를 바꿔야 한다”며 고 지적했다.
 
 그는 “개헌을 지금 하자는 것이 아니다”라며 “다만 시기와 관계없이 국민과 함께 우리 대한민국의 현재와 미래를 봤을 때 권력구조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개헌을 둘러싼 논쟁은 비공개 회의에서도 이어졌다.
 
 김무성 원내대표는 “대통령제는 실패한 제도라는 것은 5명의 전임 대통령 말년이 다 불행했던 역사가 증명하고 있다”며 “뭔가 바꿔야 한다고 많은 의원들이 생각하고 있다”며 개헌논의가 조속히 시작되어야 함을 거듭 강조했다.
 
 김 원내대표는 이어 구제역 시기가 진정되는 1월 말에 개헌 논의를 위한 의원총회를 개최할 것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두언 최고위원은 “당 내부에서 논의해야지 밖에서 논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의총 개최에 동의했고 나경원 최고위원은 “개헌에 대한 논의를 시작할지를 결정하는 의총이 되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에 친박계인 서병수 최고위원은 “제왕적 대통령제의 폐해를 지적하지만 국민과 정치인들의 의견은 다르다”라며 “총리의 권한을 법대로 조정하면 문제가 없다”고 개헌논의가 불필요하다고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