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전당대회에서 새 지도부가 선출될 때까지 한나라당을 이끌어갈 비상대책위원회가 출발부터 주류와 비주류의 신경전으로 진통을 겪고 있다.
정의화 비대위원장은 9일 오전 첫 회의를 열어 12명의 비대위원과 향후 비대위 운영 방향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었지만 당 소장파들이 의원총회를 열고 비대위 인선을 다시 해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하면서 회의가 무산됐다.
정 위원장은 8일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지금 비대위 회의를 강행하는 것은 모양새가 좋지 않다"며 "내일 오전에 안상수 전 대표, 황 원내대표와 3자 회동을 갖고 비대위 운영 등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지난 6일 원내대표-정책위의장 경선에서 친박계(친박근혜) 의원들과 연대해 비주류인 황우여-이주영 후보를 당선시킨 소장파 의원들은 물러나는 지도부가 비대위를 구성하는 것은 당헌에 위배되고 정치상식에도 맞지 않다면서 재인선을 주장하고 있다.
반면, 친이계(친이명박) 주류 의원들은 `대표최고위원은 최고위의 의결을 거쳐 특별기구를 설치할 수 있다'는 당헌 제68조에 따라 지난 7일 최고위에서 비대위 인선을 했기 때문에 절차상의 하자가 없다는 의견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