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력 대권주자인만큼 표결 여부에 정치적 의미가 실릴 수밖에 없다.
박 전 대표는 지난 3일 측근인 최경환 의원의 출판기념회에서 “한미 FTA는 이번 회기에 처리되는 게 좋다”면서도 비준안 강행처리시 표결 참여 여부에 대해 “여야간 합의를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상황이니까 더 지켜보고..”라며 유보적으로 답했다.
그러나 여야간 절충 가능성이 옅어진 19일에는 ‘포럼부산비전’ 창립 5주년 기념식에 참석한 뒤 “FTA 비준안을 두고 직권상정, 표결처리 분위기가 나오는데..”라는 기자들의 질의에 “지난번 의원총회에서 지도부에 전부 일임하기로 하지 않았습니까. 그렇게 결정을...”이라고 말했다. 나아가 “당 지도부 결정을 따를 것이냐”는 기자들의 추가 질의에 “네네”라고 답해 지도부 결정에 따르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한 핵심 측근은 20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당론으로 표결처리를 해야 한다고 결론이 나면 박 전 대표도 여기에 참석해야 하지 않겠느냐. 박 전 대표가 한미 FTA에 반대하는 것도 아니지 않느냐”고 말했다.
다른 측근도 “한미 FTA와 관련해 박 전 대표는 이미 자신의 입장을 밝혔고 거기에 전혀 변화가 없다”면서 “본회의가 24일 또는 그 전이라도 잡혀 당론으로 표결처리에 들어간다고 하면 박 전 대표는 거기에 따를 것”이라고 공감했다.
물론 여야간 격렬한 몸싸움이 벌어지면 박 전 대표의 본회의 출석이 어려워질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국회폭력’을 수반했던 지난 2009년 미디어법 직권상정 처리 때와 지난해 예산안 강행처리 때에도 박 전 대표는 본회의에 불참했었다.
친박계는 당시 박 전 대표가 국회 본청에는 들어왔지만, 몸싸움 때문에 본회의장에는 들어갈 수 없는 상황이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이번에는 박 전 대표가 FTA 통과에 적극 찬성 입장을 밝힌 데다, FTA 표결에 어떤 태도를 취했는가가 내년 총·대선 때 유권자에게 중요한 판단 근거가 될 가능성이 커 표결에 적극 나설 것이라는게 친박계 내의 중론이다.
/연합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