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구제금융 받은 아일랜드, 이번엔 내수 감소 '빨간불'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11-21 21:5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규진 기자) 유럽 구제금융의 성공사례로 꼽힌 아일랜드도 정부의 긴축정책으로 경제적 위기를 직면했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파이낸셜타임스는 20일(현지시간) 아일랜드의 부채감축 정책과 구제금융의 병행이 효과가 있지만 내부에서 긴축정책이 내수감소로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일랜드정부가 유럽연합(EU)과 국제통화기금(IMF)으로부터 구제금융을 받기 위해 공공부문에 대한 재정지출을 줄이며 국내 시장이 위축되는 역효과가 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예컨대 수도 더블린의 외곽지역에서 안경점을 운영하는 빌 도슨씨는 “개점한 지 8개월만에 폐업 준비를 하게 됐다”며 “지하철과 쇼핑센터가 들어온다는 말에 가게를 열었는데 건설사업이 무산되며 더는 장사할 수 없게 됐다”고 토로했다.

연료공급사 ‘토파즈’의 넬 올리어리 사장도 “운전하는 데 이토록 많은 돈이 들어간 것은 처음”이라며 “사람들이 심지어 생필품에 대해서도 지갑을 닫고 있어 소비가 계속 줄어든다”고 말했다.

아일랜드는 지난 2008년 경제위기가 발생한 후 200억 유로규모의 긴축정책을 펼치고 있다. 2015년까지 국가부채를 국내총생산(GDP)의 3%로 줄이라는 EU-IMF의 제시안을 충족하기 위해 아일랜드는 앞으로 124억유로 규모의 긴축정책을 추가로 진행할 계획이다.

아일랜드 중앙은행도 새로운 긴축정책이 발표됨에 따라 올해에는 개인 소비가 2.6% 감소하고 내년에는 0.8%가량 더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