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크루즈 여객업 관련 규제 정비해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1-17 18:2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전재욱 기자) 4200여명이 탑승한 호화 크루즈 여객선 코스타 콩코르디아호가 좌초한 뒤 크루즈 여객업의 규제 문제가 도마에 올랐다.

뉴욕타임스(NYT)는 16일 인터넷판에서 크루즈 업계는 그다지 많은 규제를 받지 않아고 성장해왔으며, 이에 따른 통제 체계가 마련돼 왔는지 의심스럽다고 지적했다.

이 신문은 대부분 크루즈 여객선 항로는 운영업체 임원들이 결정한다고 했다. 비행 계획서를 제출하고 비행 중에도 지상 관제사들의 통제를 받는 항공 여객업계와는 대조를 보인다.

크루즈 여객선에서 종종 발생하는 범죄 행위와 안전·보건 관련 규정의 위반 문제도 두드러진다. 이런 문제가 발생해도 적절한 제재를 받지 않는 경우가 있고, 뚜렷한 규제 기구가 없다는 점이 이 현상의 가장 큰 원인이라는 지적이다.

유엔 국제해사기구(IMO)가 전반적인 해상 안전 문제를 담당하고 있고 해상인명안전협약(SOLAS) 역시 IMO의 규제 수단 중 하나다. 하지만 이 협약은 무용지물에 가깝다. 1912년 타이타닉호 침몰사건 이후 안전 대책을 강화하라는 여론이 끓어오르면서 1914년 만들어졌으나 단속 권한이 없다.

심 칼라스 유럽연합(EU) 교통정책 담당 집행위원은 “경제적 이유로 크루즈 선박의 크기는 점점 커졌지만, 비상탈출 같은 절차들이 제대로 지켜지는지 등 규제는 발맞춰 진화하지 못했다”고 했다.

이번 사건으로 항로 변경 권한과 승객·승무원을 상대로 한 안전 훈련, 관련 규제 등을 재정비 하자는 목소리가 커질 전망이다. 그동안 선장은 운항 중인 선박에서 모든 의사 결정권을 가졌다.

코스타 콩코르디아호에 탑승했다가 구조된 미국인 신혼부부 벤지 스미스와 에밀리 라우 부부는 미국 ABC방송의 ‘굿모닝 아메리카’에 출연해 “안전 교육에 참가해서 관광지 홍보만 들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