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시에 따르면 소흘읍을 비롯해 가산면, 영중면, 일동면, 관인면 등 5곳에 262㏊ 규모의 생산단지를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해 단지에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고시히카리’ 품종을 사용키로 했다.
또 생산비 절감을 위해 경운기와 이앙기 등 농기계를 공동으로 이용토록 했다.
시는 단지에서 단백질 함량 6.3% 이하, 완전미율 97% 이상, 중금속 위해요소 등을 차단하는 쌀을 생산한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시는 최고급쌀 생산 매뉴얼을 제작, 농가에 보급하고 교육할 예정이다.
농업기술센터와 농협, 경기도농업기술원 등 관계기관과 연계해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마케팅을 펼친다는 계획이다.
특히 볍씨소독, 모내기, 병해충 방제, 수확 등 전 과정에 걸쳐 현장기술을 지원하는 한편 병해충 발생여부, 도복(벼쓰러짐) 여부 등을 검사해 합격된 쌀만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