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가에 물류기업들 “공동물류해 비용 아끼자”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3-19 11: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재영 기자) 고유가로 인해 공동 수·배송, 공동 보관 등을 통한 비용절감 필요성을 인식하는 물류기업들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는 최근 유통·제조분야 화주기업과 물류기업 471개사를 대상으로 ‘공동물류에 대한 인식과 애로점’을 조사한 결과 19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공동물류가 필요하다’고 답한 기업이 50.6%로 절반을 넘었다. ‘공동물류’란 노동력, 수송수단, 보관설비, 정보시스템이나 도로 등 물류활동에 필요한 제반 사항들을 복수의 파트너가 공유하는 것으로 일상생활의 ‘카풀’과 유사한 개념이다.

업종별로는 물류기업(71.0%)이 제조(45.7%)·유통(36.1%) 화주기업보다 물류공동화에 더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의는 이에 대해 “중소운송기업들은 업종 특성상 물류원가의 평균 40~50% 이상을 연료비에 지출하는데 최근 유가상승과 과당경쟁으로 인한 단가하락으로 경영압박을 크게 받고 있다”면서 “이를 타개하기 위한 자구책으로 공동물류의 필요성을 더 많이 느끼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실제 공동물류의 가장 큰 효과로 ‘물류비 절감’(63.0%)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이어 ‘업무효율 향상’(23.0%), ‘서비스수준 향상’(7.0%), ‘기업 브랜드 노출을 통한 홍보효과’(3.0%)를 차례로 답했다.

공동물류 효과를 톡톡히 볼 수 있는 사업분야로는 ‘수·배송’(43.7%), ‘보관(물류센터 등 시설)’(41.7%), ‘유통가공(포장)’(10.3%), ‘공동회수’(4.3%) 등을 꼽았다.

공동물류 추진을 방해하는 요인으로는 가장 많은 기업이 ‘적절한 비용·수익 배분의 어려움’(45.7%)을 지적했으며, ‘공동화시설 등에 대한 투자부담’(34.7%), ‘파트너 찾기 어려움’(30.7%), ‘제품규격, 정보시스템 등 표준화’(29.3%), ‘거래정보 유출 가능성’(27.0%) 등이 뒤를 이었다.

공동물류를 시행중인 기업들의 사업형태를 분석한 결과, 화주 주도의 공동수·배송, 보관 등 단순공동물류 수행이 72.0%로 가장 많았고, 물류기업 주도로 물류기업 간 화물정보·차량정보를 공유하는 경우가 16.0%, 화주·물류기업 공동 주도로 공동물류센터에 공동 투자·경영하는 사례가 12.0%로 나타났다. 시행업체의 물류비 절감효과는 평균 13.0%로 집계됐다.

공동물류사업의 확산을 위해 필요한 정책적 지원으로는 ‘공동물류시설 자금지원’(61.3%), ‘세금감면, 규제완화 등 인센티브’(46.0%), ‘시범사업화 및 매뉴얼 보급’(42.0%), ‘공동물류 추진기업 알선’(20.3%), ‘공동물류에 대한 인식개선을 위한 홍보 및 교육’(20.2%)을 차례로 들었다(복수응답).

대한상의 김경종 유통물류진흥원장은 “녹색경영 패러다임과 고유가 시대를 맞아 공동물류의 보급·확산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과제”라면서 “특히 중소물류기업 간 공동물류는 개별기업의 영세성으로부터 초래되는 문제에 대한 해결방향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정부의 관심과 정책적 지원이 더욱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