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현지시간)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SUPRI)가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07년부터 5년간인도가 전체 아시아 시장서 10%, 한국은 6%를 수입해 1·2위를 기록했다.
파키스탄과 중국이 5%로 3,4위를 차지했고 싱가포르가 4%로 5위로 선정됐다.
특히 SIPRI 보고서는 2002년부터 지난해까지 인도의 무기 수입이 38%나 증가했으며 러시아로부터 Su(수호이)-30MK 30대, MIG(미그)-29K 16대와 영국의 재규어 S 20대 등 전투기 수입이 두드러졌다고 설명했다.
인도와 적대국인 파키스탄도 이 기간 중국에서 JF-17 50대와 미국의 F-16 30대 등의 수입이 크게 증 가했다.
그러나 세계 최대 무기 수입국이던 중국은 2007년부터 수입량이 크게 줄어 4위로 밀렸다. 이는 자체 무기산업이 발전하며 수입이 감소하고 수출이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무기 수출국은 △미국 △러시아 △독일△프랑스 △영국 △중국 순이다.
한편 아시아와 대양주가 전세계 재래식 무기 시장서 최대 수입지역으로 선정됐다. 유럽은 19%, 중동 17%, 남.북미 11%, 아프리카가 9%를 각각 수입했다. 지난 2002-2006년 기간에 비해 전체 거래량은 24% 늘었다.
현재 내전 중인 시리아의 경우 무기 수입량이 2002년부터 지난해까지 무려 580%나 늘었고 베네수엘라도 555%나 증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