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셰 쉬런 중국 재무장관과 만난 박 장관은 한국이 녹색시후기금(GCF) 유치신청 국 중 유일한 아시아 국가임을 소개하며 중국 측의 강력한 지지를 요청했다.
박 장관은 “한국이 환경 관련 국제기구의 유럽편중 현상을 완화할 수 있다”며 “아시아가 기후변화 대응의 중심이 돼야 한다” 강조했다.
이에 셰 쉬런 장관은 “아시아 지역의 GCF 유치 필요성에 공감한다”며 “적극적이고 긴밀한 협력하겠다”고 답변했다.
이어 박 장관은 프라남 무커지 인도 재무장관, 호세 안토니오 메아데 멕시코 재무장관, 제임스 플레허티 캐나다 재무장관 등과의 연쇄 회동에서 “고유가 추세가 지속되고 있는데에는 원유 파생상품 시장의 수요에 기인하고 있으므로 깐느에서 합의한 파생상품 규제 및 감동 강화 등의 시정조치가 신속히 이행되어야 한다”는 뜻을 전달했다.
각국 재무장관들도 G20 국제공조 의지가 코뮤니케에 충분히 반영되어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
오는 7월로 임기가 종료되는 로버트 졸릭 WB 총재와의 면담에서는 한국과 WB간의 협력관계 강화를 강조했다. 박 장관은 “한국은 개도국과 선진국간 이해상충의 조정자 역할이 가능한 국가”라며 “GCF 사무국 유치에서 WB가 협조와 지지를 보내달라”고 요청했다.
졸릭 총지도 임기 중 한국정부가 보여준 협조와 지지에 감사를 표시하면서 국제개발원조정책의 모범사례인 한국의 역할증대를 요청했다. 졸릭 총재는 “아울러 차기 총재 취임 후에도 한국과 WB의 협력관계가 더욱 지속강화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