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11년 외국인 환자 유치 실적’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에서 진료를 받은 외국인은 총 12만2297명으로 전년 8만1789명보다 49.5% 증가했다.
외래 진료가 9만5810명으로 78.3%를 차지했으며 건강검진은 1만4542명(11.9%), 입원은 1만1945명(9.8%)이었다.
여성 환자(58.0%)가 남성(42.0%)보다 많았다.
연령별로는 20·30대 41.8%, 40·50대 34.7% 등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환자의 국적은 미국이 27.0%로 가장 많고 일본(22.1%), 중국(18.9%), 러시아(9.5%), 몽골(3.2%)이 그 뒤를 이었다.
진료 과목은 내과(15.3%)가 피부·성형외과(12.7%)를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외국인 환자는 서울(63.7%)에 있는 병원을 주로 찾았다.
외국인 환자 진료를 통해 거둔 수입은 총 1809억원으로 2010년 1032억원 대비 75.3% 늘었다.
1인 당 평균 진료비는 149만원으로 내국인(101만원)보다 높게 나타났다.
1억원 이상을 진료비로 쓴 환자는 27명이었다.
1000만원 이상을 쓴 외국인은 5011명으로 전년보다 2배 가량 증가했다.
카자흐스탄 환자가 평균 352만원, 러시아 환자는 314만원, 몽골 환자는 239만원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도걸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외국인 환자 증가세를 이어가기 위해 정부 간(G2G) 환자송출협약 체결, 외국의료인 연수 확대 등을 통해 외국인 환자 유치 기반을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