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국무원은 23일 원자바오(溫家寶) 총리 주재로 열린 상무회의에서 최근의 경제상황을 논의하고서 `안정적 성장‘을 더욱 중시해 경제정책을 추진키로 했다고 관영 신화사가 24일 전했다.
국무원 상무회의는 "중국의 경제운영은 전체적으로 안정돼 있고 경제성장 속도 역시 연초에 예상했던 목표구간내에 위치해 있다"면서도 "중국 국내외 환경이 더욱 복잡해 지고 있으며 새로운 문제들이 출현하고 있다"며 위기감을 드러냈다. 이어 "세계경제 회복이 늦어지고 있고 이로 인한 경제적 여려움이 더욱 선명해지고 있다"며 "경제운용 목표와 현실사이의 괴리가 커지고 있어 경제하락 압박이 거세지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국무원이 이처럼 어려움을 토로하는 것은 그만큼 중국의 경제전망이 어둡다는 점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중국의 수출 신장세가 둔화되고, 내수가 예상외로 활성화되지 않는 등 각종 경제지표가 예상보다 나빠지면서 경기 부진 우려가 커진 것이다. 중국의 성장둔화는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경제 회복에도 찬물을 끼얹는 효과를 가져온다. 특히 중국과의 경제협력 비중이 막대한 우리나라로서는 중국의 성장둔화는 치명적인 영향을 끼친다.
국무원 상무회의는 이같은 위기감에 화폐정책의 선제적 미세조정 폭을 확대하고 유연성을 키워 사회융자 규모를 합리적으로 유지하는 한편 감세정책을 통해 기업들이 세금 부담을 덜어주기로 하는 등의 안정적이면서 비교적 빠른 경제성장을 견인해 낼 정책방향들을 제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