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흥길, 北이탈청소년 대안학교 방문 뒤 "지원확대 검토”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7-04 18:2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현철 기자=고흥길 특임장관은 4일 북한이탈 청소년들의 사회적응을 돕기 위해 설립된 여명학교를 방문해 "생각보다 너무 협소하네"라고 말하며 안타까운 마음을 드러냈다.

중구 남산동의 건물을 임대해 운영되고 있는 여명학교를 찾은 고 장관은 미술실, 컴퓨터 교육실 등을 둘러보고 학교 관계자들의 고충을 청취했다.

여명학교는 2010년 고교과정으로 인가 받았지만 현재 서울시교육청으로부터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

이흥훈 교장은 “기초생활수급자의 경우 보건복지부에서 학생교육비가 지원되지만, 북한이탈주민은 통일부에서 정한 학비면제대상이라 교육비 지원을 못 받으니 역차별로 느껴진다”고 토로했다.

여명학교의 한 교사는 "탈북자들을 데리고 국경을 넘었을 땐 포기할 생각이 없었는데 지금이 더 힘들다"면서 "카터 대통령 일행들이 학교를 찾았을 때 '정부에서 같이 해야 되는건데 이상하다'고 말해 민망한 적이 있었다"고 말하며 정부의 지원을 촉구했다.

이 교사는 "지금 가르치면 나중에 오히려 돈이 덜 든다. 미래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다"면서 "교육청에서는 '정책적으로 결정이 나야지 실무자 선에선 할 수 있는게 없다'고 말한다"며 고 장관에게 애로사항을 전달했다.

이에 고 장관은 “탈북자 지원법에 1개 조항만 집어 넣으면 되는 문제인 만큼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이후 그는 학생들에게 직접 배식을 하고 오찬을 함께 했다.

북한 이탈학생들은 고 장관과 수행진, 기자들을 보자 낯설어 하지 않고 "안녕하세요"라고 큰 소리로 인사하는 등 밝은 모습을 보였다.

고 장관은 오찬 자리에서 "소외감을 느끼는게 가장 나쁘다. 우리는 다 같은 민족이다"라며 "꼭 성공해달라. 여러분들 뒤에는 제가 있다"며 격려금을 전달했다.

그는 "왜 진작 안 왔는지 큰 잘못을 했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라며 "북한에서 넘어와 겪은 고생들을 이루 다 말할 수 없지 않겠나"라고 위로했다.

또 "상황에 위축되지 말고 지금은 정부지원이 미약해도 시작단계니 이해해 달라"고도 했다.

여명학교 학생회장은 기자에게 "학교 공간이 좁아 불편하고 운동장이 없어 운동장에서 마음껏 운동하고 싶다"고 애로사항을 전했다.

고 장관은 학교 방문을 마친 뒤 "정부 손길이 미치지 못한 곳이 많이 있구나란 생각을 했다"면서 "북한이탈주민법 1~2개만 고치면 학생들뿐만 아니라 교수들도 지원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