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비용 물류… 유통업체 “100원 팔면 7원은 물류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7-15 11: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유통업체 68% “지난해 보다 물류비 증가”

아주경제 이재영 기자= 국내 유통업체들은 100원의 매출을 올리기 위한 물류비용으로 7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가 최근 554개 유통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유통 업태별 물류효율성 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유통업체의 평균 물류비는 매출액 대비 6.9%로 집계됐다.

업태별로는 전자상거래(10.0%), 슈퍼마켓(6.8%), 할인점(4.0%), 백화점(3.6%), 아울렛(3.1%) 순으로 나타났으며, 기업 규모별로는 대형 유통업체군이 3.8%, 중소유통업체군은 7.4%로 두 배 가까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의는 “대기업 비중이 높은 할인점, 백화점에 비해 중소유통업체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전자상거래, 슈퍼마켓의 물류비가 높게 나타났다”면서 “대형 유통업체들의 경우 입점 납품업체들이 운송, 재고관리 등 물류업무의 대부분을 주도적으로 관리하고 최신 물류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어 물류효율이 높은 반면, 중소업체들은 수·배송에 해당하는 업무의 개별적 수행으로 물류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지난해 대비 물류비 변화를 묻는 질문에는 응답기업의 68.4%가 ‘증가했다’고 답했고 그 이유로는 ‘유가상승’(85.8%), ‘운송비 증가’(55.9%), ‘인건비 상승’(41.2%), ‘임차료 증가’(3.4%) 등을 차례로 들었다.

지난해보다 물류비가 줄었다는 기업(8.0%)은 그 원인으로 ‘매출감소’(79.2%)를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인력감축’(16.7%), ‘물류 효율화 및 합리화’(12.5%), ‘물류 아웃소싱’(8.3%)등을 차례로 꼽았다(복수응답).

유통업체들이 중점적으로 관리하는 물류업무로는 판매전후 고객서비스 관련 ‘판매물류’(84.1%), 창고, 재고관리, 운송 관련 ‘사내물류’(66.4%), 폐기, 회수 및 반품 관련 ‘역물류’(46.3%), 원재료·부품 운송 관련 ‘조달물류’(18.7%)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복수응답).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이 ‘사내물류’(94.1%), ‘판매물류’(85.3%), ‘역물류’(76.5%), ‘조달물류’(16.7%) 순으로 답했고 중소기업은 ‘판매물류’(83.4%), ‘사내물류’(50.8%), ‘역물류’(29.3%), ‘조달물류‘(19.9%) 순으로 응답했다(복수응답).

대한상의는 “대기업은 조달, 사내, 판매, 역물류 등 공급사슬 전 영역에 대한 일괄 관리를 통해 물류효율을 높이고 친환경 물류에도 대응하고 있지만 물류수행 역량이 부족한 중소유통업체들은 일괄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대기업에 비해 물류효율이 낮다”고 지적했다.

물류효율화를 위한 정책과제로는 ‘정책자금 및 세금지원’(31.8%)이 가장 많았고 이어 ‘물류공동화·정보화·표준화에 대한 정책 지원’(26.2%), ‘물류현장 전문가 육성 지원’(15.3%), ‘지속가능 물류전환제도 및 사업 시행’(12.1%), ‘물류 법제도 개선’(4.4%) 등이 뒤를 이었다.

김경종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중소유통업체의 고비용 물류구조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중소유통업체 간의 공동물류 등 물류협업을 통해 물류 효율을 높이고 물류원가를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며 ”중소유통업체들의 물류협업을 유도할 수 있는 정책지원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