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개발硏, 통일 이후 DMZ 등 접경지역 효율적관리 방안 연구 발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8-15 12:1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문기 기자= 경기개발연구원 조응래 선임연구위원은 15일 '접경지역의 비전과 발전전략' 연구보고서를 통해 DMZ는 평화 그린벨트로 지정하여 보전관리계획을 수립하고, 민통선 지역을 포함한 접경지역과 개성 지역은 대도시권 공간구조 속에서 발전할 수 있도록 성장관리계획을 수립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DMZ·접경지역의 이용 및 보전계획을 수립하고 빠른 시일 내에 법제도를 정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반도를 가로지르는 단절 공간인 DMZ 주변 접경지역은 그동안 과도한 군사시설보호구역 지정 및 취약한 산업기반으로 대한민국에서 소외됐지만, 통일 후 한반도의 핵심으로 잠재력과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는 지역이다.

DMZ 접경지역의 발전을 위해 북한 내 인구 산업집적 지역과 연계를 고려하여 접경지역에 2+1 형태의 통일경제특구를 조성하자고 제안했다. 파주·철원에 산업형 특구, 고성에 관광형 특구를 조성하되 철원은 산업과 관광이 혼합된 형태가 적절할 것으로 보인다고했다.

DMZ가 갖는 세계평화의 상징성과 생태관광 가치를 극대화하여,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등재뿐만 아니라 지질공원(Geo Park), 세계복합유산으로 등재하는 노력도 제안했다.

역사와 안보현실을 체류하면서 체험할 수 있는 국제적 관광거점으로 DMZ를 육성하여 지역경제를 활성화할 필요도 있다. 현재 DMZ 일원은 연간 600만 명의 관광객이 다녀갔고 외국인 관광객에게도 인기가 높다. 최근 설문조사에 따르면 임진각을 방문한 중국관광객의 59%가 당일 혹은 1박을 하면서 개성을 방문하고 싶다고 응답했다. 개성관광 이유로는 ‘남북한을 동시에 방문할 수 있기 때문’이 56%, ‘옛날 문화유적을 관광하고 싶기 때문’이 22%로, 중국인 관광객 대상의 개성관광을 통해 남북교류의 물꼬를 틔울 필요가 있다.

한편,북한과 연결되는 경의축, 경원축 외에 당진∼평택∼인천공항∼강화∼개성으로 연결되는 서해축에 161.9㎞의 경기만 고속도로를 건설하여 세종시 서울 평양이 연결된 '世-京-平' 국가행정중심축도 보강해야 한다. 이 중에서도 인천공항을 거쳐 강화, 개성으로 연결되는 17.7㎞ 구간은 최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또한 강화∼고성간 255㎞의 동서 평화고속도로 건설을 통해 DMZ 일원 주요 관광지 연결 및 접경지역의 접근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조응래 선임연구위원은 “ DMZ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중앙과 지방정부가 협력하는 통합적 거버넌스 체계가 중요하므로 가칭 ‘DMZ 관리청’과 같은 조직을 신설해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며, “통일 이후까지 고려한 DMZ·접경지역의 이용 및 보전계획을 수립하고, DMZ를 평화 그린벨트로 관리하기 위한 법제도 마련도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