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기관은 이를 위해 5일 위성기준점(GPS) 관측자료 공유와 전리층 분석 공동연구를 위한 상호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한다.
위성기준점은 고정된 위치에서 위성항법신호를 수신 할 수 있는 상시 관측소다.
국토지리정보원은 정밀측량.지도제작 등을 위해 전 국토에 60km 간격으로 57개소의 위성기준점을 운영하고 있다. 국립전파연구원은 관측 자료를 활용해 전리층을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는 지도 작성을 추진하고 있다.
태양흑점 폭발로 전리층에 교란이 일어나면 군.항공사가 사용하는 단파통신이나 통신업체가 제공하는 위성통신 서비스에 장애가 발생할 수 있어 변화 관측이 필요하다.
전리층 실시간 지도가 완성되면 단파통신이나 위성통신 장애 발생 가능지역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돼 태양흑점 폭발 현상이 한반도 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분석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