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위가 15일 발표한 정부조직 개편안을 야당 측에 설명하기 위해서다. 대선 이후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 측 핵심 인사가 민주당 지도부를 만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문 위원장과 함께 민주당 측에선 김영주 비서실장과 정성호 대변인, 비대위원인 김동철 의원 등이 동석했다.
35분간 진행된 면담에서 진 부위원장은 경제부총리와 미래창조과학부 신설, 안전행정부 등 일부 부처 명칭 개편) 등 인수위가 마련한 정부조직 개편안의 취지와 배경을 설명했고, 문 비대위원장은 “야당이 협력할 것은 협력하겠다”고 답했다.
문 위원장은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에서 ‘박근혜 당선인을 신뢰한다’고 했던 과거 발언을 재차 언급하며 여야 화합의 정치를 강조한 바 있다.
진 부위원장은 “정부조직개편안이 나온 것은 그동안 대선공약의 큰 그림”이라며 “세부적인 사항이 다 마무리되면 (야당에) 설명드리고 상의드릴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문 위원장은 “야당과 반대자와 언론이 다 알게 하는 과정을 약식이라도 거치지 않으면 나중에 크게 혼날 수 있다”면서 “그 과정을 생략해버리면 빨리 갈 것 같지만 더 늦어진다”고 지적했다.
진 부위원장은 “(정부조직개편안) 밑에 부분들이 자세하고 치밀하게 내부적으로 결정이 되면 그런 부분에 대해 상의 드리겠다”고 약속했다.
문 위원장은 박 당선인이 언급한 ‘국가지도자 연석회의’에 대해 “회의가 형식적인 덕담을 주고받는 자리가 아닌 보다 구체적인 대책을 논의하는 자리가 됐으면 한다”고 제안했고, 대선과정에서 여야가 의견을 같이 했던 공약에 대해선 조속한 제도화도 요구했다.
덕담이 주를 이뤘지만 인사를 두고서는 약간의 신경전도 벌어졌다.
문 위원장은 윤창중 인수위 대변인 임명과 이동흡 헌법재판소장 후보자 지명을 겨냥해 “인사가 만사(萬事)인데 인사가 망사(亡事)가 될 수 있다”면서 “보은인사와 코드인사는 국민의 신뢰를 잃게 하는 원인이 된다”라고 지적했다.
곧바로 유 비서실장은 “당선인은 ‘절대 끼리끼리 보은 인사를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씀하셨다”라고 맞받았다.
한편, 민주당 박용진 대변인은 전날 인수위가 방문 목적을 야당 측에 정부조직개편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것이라고 발표했다가 민주당 측의 항의로 비대위 출범에 대한 예방으로 수정한 것에 대해 “방문을 정부조직개편안에 대한 야당의 이해를 얻었다고 발표하려는 요식행위로 생각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이 든다”고 비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