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나라는 다른 신흥국에 비해 안정적 모습을 보여줄 것으로 전망되지만, 만약의 상황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 따른 조치다.
고승범 금융위 사무처장은 16일 서울 태평로 금융위 본청에 진행된 간부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전 세계의 관심이 추석연휴에 열리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 집중돼 있다”며 “이 회의에서 양적완화 축소 시기나 방법이 발표되면 글로벌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을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는 오는 17~18일(현지시간) FOMC 정례 회의를 통해 양적완화 축소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고 사무처장은 “FOMC 회의 결과는 19일 새벽(한국시간)쯤 알려질 것으로 보인다”며 “미국의 테이퍼링이 본격화될 경우 신흥국을 중심으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전망”이라고 전했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다른 신흥국과 달리 안정적인 모습을 유지할 것이라는 것이 금융위의 분석이다.
고 사무처장에 따르면 신 위원장은 간부회의에서 영국 이코노미스트지의 평가 자료를 예로 들어 이 같은 견해를 뒷받침했다.
고 사무처장은 “지난 6일자 이코노미스트지에서 자본유출 취약 정도를 평가한 26개 신흥국에서 우리나라는 제외돼 있다”며 “앞선 2009년 2월 같은 매체에서 한국을 17개 신흥국 중 3번째로 리스크가 높은 국가로 평가했던 점을 감안하면 외부에서 우리나라 경제를 바라보는 시각이 달라졌다는 점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19일부터 이달 13일까지 7조3000억원을 기록한 외국인의 주식 순매수 규모도 낙관적 전망에 영향을 미쳤다.
고 사무처장은 “8월 중순 이후 신흥국의 금융 불안 문제가 대두되고 있음에도, 우리나라는 견조한 경상수지 흑자와 양호한 재정건전성, 탄탄한 경제 펀더멘탈을 기반으로 외국인 투자 유입세가 가속화되고 있다”며 “경제 및 금융체질에 자만감을 가져서는 안 되겠지만, 자신감은 가져도 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신 위원장은 만약의 상황에 대비해 추석연휴 기간 비상대응체제 가동을 지시했다.
고 사무청장은 “신 위원장이 금융정책국을 중심으로 글로벌 금융시장을 24시간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경우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할 것을 당부했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