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 올해 광대역 LTE·LTE-A 통신품질 시범조사 나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09-24 14:2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조사 결과 가급적 올해 안에 공표할 방침

아주경제 이한선 기자= 미래창조과학부가 올해 광대역 LTE와 LTE 어드밴스드(LTE-A) 등 신규 서비스에 대해 통신품질 시범 조사에 나선다.

통신품질 조사 결과는 이르면 올해 안에 발표할 예정이다.

24일 미래부 관계자는 “연말까지 진행하는 통신 품질조사에서 통신사들이 새로 서비스를 시작한 광대역 LTE와 LTE-A 서비스 품질을 시범 조사할 예정”이라며 “기존 해를 넘겨 조사 결과를 발표했었지만 올해는 가급적 연말까지 공표하려 한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에서 LTE음성통화(VoLTE)에 대한 시범 조사도 진행한다.

미래부가 광대역 LTE와 LTE-A 등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시범조사에 나서는 것은 내년 본격적인 조사에 돌입하는 것에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 이번 조사를 통해 구체적인 방법과 대상 등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해를 넘겨 상반기 발표하던 조사 결과를 당겨 올해 안에 공표하는 이유는 이용자들에게 혼란을 덜 주고 보다 신속하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다.

미래부는 구 방통위에서 지난해 조사를 진행하면서 조사 지역을 예고하지 않고 이동통신 품질 조사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바꿨다.

기존에는 사전에 조사 지역을 예고하고 품질 조사를 진행하면서 통신사가 미리 대응할 수 있는 등 정확한 품질조사가 이뤄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 있어왔다.

일부 지역에서만 서비스가 이뤄지고 있는 광대역 LTE와 LTE-A에 대한 조사 과정에서는 통신사와 망구축 지역을 대상으로 사전 협의를 통해 진행할 예정이다.

VoLTE에 대해서는 아직 3사간의 연동이 이뤄지지 않고 있어 자사망에 대한 품질 조사가 이뤄질 방침이다.

이들 이통사의 신규 서비스에 대한 올해 시범 조사를 거쳐 구체적인 방법과 대상이 결정되면 내년 본격적으로 시행될 경우 각 사별 서비스에 대한 품질 격차가 드러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VoLTE 서비스를 놓고 SK텔레콤은 3세대(3G)가 보완적인 역할을 하며 끊김 없는 음성통화를 강조하고 있는 가운데 LG유플러스는 3G와는 무관하게 단일 VoLTE를 제공한다는 점을 내세우고 있어 회사들간의 품질 격차가 실제로 드러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광대역 LTE 서비스에 있어서도 KT가 기존의 LTE 전국망 주파수를 바탕으로 한 서비스를 시작하고 있는 가운데 SK텔레콤도 LTE 보조망인 1.8GHz 주파수 대역을 이번에 할당 받은 새로운 대역으로 이동해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LG유플러스는 할당받은 2.6GHz 주파수를 통해 광대역 LTE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각 사별 서비스 상황이 이렇게 달라지면서 조사를 통해 품질 격차가 나타날 지 관심을 모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