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미국 워싱턴) 김정우 기자 =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이 우크라이나 경제상황을 모니터링하기로 합의했다. 미국에 대해선 IMF 개혁안을 최대한 빨리 비준할 것을 촉구했다.
G20 회원국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은 11일 오후(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회의’를 마친 뒤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폐막 공동선언문(코뮈니케)을 채택, 발표했다.
회의에서 각국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들은 올해 세계경제 성장세가 더 강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중대한 글로벌 위험요인과 여전한 취약성 등을 고려할 때 경계를 늦추지 말아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했다.
이에 따라 공동선언문에는 우크라이나의 경제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우크라이나 경제 및 금융안정을 저해하는 위험요인에 유의하기로 합의하는 내용이 담겼다.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정치, 경제적 긴장관계가 지속되고 있는 미국과 러시아도 이번 회의에서 이같은 공조에 합의해 더욱 의미가 크다는 평가다.
공동선언문은 또 IMF 개혁안 이행은 최우선 정책과제이며 미국이 최대한 빨리 비준해 줄 것을 촉구했다. G20은 지난 2010년 서울 정상회의에서 신흥국 발언권을 높이는 IMF 개혁안에 합의했다. 그러나 IMF 최대 주주인 미국 의회에서 개혁안 비준을 거부하면서 4년째 개혁안이 표류하고 있는 상황이다.
국가간 정책공조를 강화하자는 내용도 담았다.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각국의 국내정책이 미치는 대외 파급효과를 파악하고 정책방향을 조정할 경우에는 글로벌 경제에 대한 영향을 유의하기로 했다.
아울러 G20 성장전략의 목표인 향후 5년간 GDP 2% 제고 달성을 위해 더 의욕적인 구조개혁이 필요하다는 데 합의했다. 이를 위해 각국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들은 새로운 실천과제를 발굴하기로 약속했다.
이 외에도 공동선언문에는 인프라 등 투자증진과 우선순위 설정을 위한 모범 관행을 마련하고 이를 지원․집행하기 위한 메카니즘을 검토하기로 하는 내용이 담겼다. 이 과정에서 호주는 ‘글로벌 인프라 센타’ 설립을 제안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현오석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차질 없는 구조개혁을 위해서는 강한 정치적 의지를 통해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한국이 경제체질 개선을 위한 ‘경제혁신 3개년 계획’, ‘규제개혁’을 추진 중이라고 소개해 각국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들로부터 모범적인 사례라는 평가를 얻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