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3/30/20150330150540136666.jpg)
아주경제 문지훈 기자 = 금융당국은 보험사들이 오는 2018년 이후 시행될 예정인 보험 국제회계기준(IFRS4) 2단계를 내실 있게 준비할 수 있도록 대응방안을 마련했다고 30일 밝혔다.
보험 IFRS4는 국제 회계제정기구인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가 마련한 통일된 보험 국제회계기준이다. 국제회계기준위원회는 내년 이후 보험 IFRS4 2단계 확정안을 발표하고 2018년 이후 시행할 예정이다.
금융당국은 보험 IFRS4 2단계 실행 시 보험부채 평가방식의 경우 계약시점 기준(원가)이 아닌 결산기 시장금리 등을 반영한 시가평가로 변경되기 때문에 상당규모의 책임준비금을 추가로 적립해야 할 것으로 예상했다. 금리 하락 시 보험부채 할인율이 떨어져 준비금을 추가로 적립할 경우 이익잉여금 등의 자본이 감소할 수 있다는 것이다.
수익 및 비용인식의 경우 보험료 수취시점이 아닌 보험기간에 걸친 위험보정을 기준으로 하고 투자(저축)요소를 제외해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해약환급금이나 만기보험금 등 위험보장과 관계없는 투자요소가 제외되기 때문에 수익·비용규모가 줄어들 수 있다는 것이다.
금융당국은 이로 인해 보험사의 미래가치를 반영한 경영실적이 재무제표에 드러나 회계시스템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경영전략 개편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지급여력 등 재무건전성이 취약한 보험사의 경우 자본확충 및 경영체질 개선이 시급할 것으로 분석했다.
금융당국은 보험 IFRS4 2단계 연착륙을 위해 금감원이 운영하던 도입준비단을 금융위 포함 모든 보험 유관기관이 참여하는 기구로 확대 개편하기로 했다. 또 단계·업무별 액션플랜도 마련하고 보험계리 인프라 구축 등 보험사 도입준비도 지원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