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미래의 농어촌] 정부 "창고에 쌓인 묵은쌀 가축 사료로 만든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12-15 13:0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선국 기자 =정부가 쌀 재고처리 대책의 하나로 묵은쌀을 가축사료 원료로 쓰기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식용으로 쓸 수 없는 2012년산 묵은쌀(구곡) 재고 약 10만t을 가축 배합사료 원료로 사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15일 밝혔다.

쌀을 사료 원료로 쓰기에 적절한지 검증하고자 농식품부는 돼지·소·산란계를 대상으로 실증 시험을 하고 있다.
묵은쌀을 사료 생산에 사용하게 되면 옥수수와 대두박(콩껍질) 등이 주원료인 옥수수 배합사료에 옥수수 분량을 줄이고 쌀을 5% 정도 넣을 예정이다.

2012년산 묵은쌀은 현재 정부 양곡창고에 있는 쌀 중 가장 오래된 쌀이다. 품질이 떨어져 밥을 해 먹을 수는 없고 막걸리 등 주정용으로만 사용 가능하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주정용으로 쓸 수 있는 쌀은 연간 최대 21만t이어서 2012년산 묵은쌀을 주정으로 쓰기에는 한계가 있다"며 "구곡을 들고 있으면 비용이 계속 발생해 신규 수요처를 발굴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현재 쌀 재고는 신곡과 구곡을 통틀어 총 136만t으로 유엔식량농업기구(FAO)가 제시한 적정 규모(80만t)보다 약 56만t이 많다. FAO는 쌀 소비량의 17∼18%를 적정 재고로 본다.

쌀 소비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지만 연이은 풍년으로 쌀 재고가 불어나 재고 관리 부담도 커지고 있다. 쌀 1만t당 보관료만 약 14억원에 이른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결국 보관해도 마땅한 수요처가 없는 묵은쌀의 사료화를 고육지책으로 추진하기에 이르렀다. 최근 쌀 재고 문제가 심각해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와 한국쌀전업농중앙연합회 등 농업인 단체도 묵은쌀을 사료화할 필요가 있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실증시험으로 타당성을 입증하면 농식품부는 이르면 내년 4월 이후 묵은쌀을 사료용으로 공급할 계획이다. 사료용 묵은쌀 가격은 주정용(㎏당 약 300원) 보다 낮은 ㎏당 200원 정도가 될 전망이다.

일본은 오래전부터 쌀을 동물 사료로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결식아동이나 기초생활수급자 등에 대한 복지가 우선인데 쌀을 동물 사료용으로 쓰는게 적절하냐는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복지용으로는 구곡이 아닌 신곡을 공급해야 한다"며 "식용으로 쓸 수 없는 묵은쌀만 사료에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