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코로나19) 확산으로 감염 우려가 커지자 주요 은행들이 지폐와 금고까지 소독하는 등 화폐 위생관리에 신경 쓰고 있다. 시중에 유통되는 현금을 일일이 소독할 수 없어 돈이 많이 모이는 은행에서 방역에 나선 한 셈이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영업점에서 본점으로 보낸 현금을 최근 들어 방역하고 있다. 또한 본점과 개별 영업점의 금고도 수시로 소독하고 있다.
NH농협은행도 지폐를 소독하기 위해 4일 지역별 업무지원센터 9곳에 분사기 1대와 20ℓ짜리 소독약 3통을 배치했다.
업무지원센터는 지역 내 영업점의 현금관리를 하는 곳이다. 서울에서는 서울자금관리팀이, 경기도에서는 경기자금물류반이, 나머지 지역의 경우 지역업무지원단이 업무지원센터 역할을 맡고 있다.
이 업무지원센터들이 영업점과 현금을 주고받을 때마다 들어오고 나가는 지폐를 소독하기로 했다.
KB국민은행은 전문 방역업체에 위탁해 주 1회 본점 금고를 방역하고 있다. 또 외국인 방문이 잦은 영업점에서 한도 초과 현금을 보내오면 역시 소독하고 있다.
신한은행은 본부 출납센터에 현금이 들어오고 나갈 때 부정기적으로 소독하고 있다.
하나은행은 현금 위생 관리를 위해 한국은행을 '활용'하고 있다. 본점으로 모이는 원화 화폐의 80%가량을 한국은행으로 보내서 신권 또는 사용권으로 교환하고 있다. 과거에는 30∼40% 정도만 한국은행으로 보냈다.
한국은행은 코로나19 바이러스 생존 기간을 고려, 금융기관으로부터 들어온 화폐를 최소 2주간 금고에 보관하고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고객들이 자주 찾는 자동화기기(ATM)도 매일같이 소독하고 있다"며 "여러 사람을 거치는 것이 돈이다보니 고객 및 직원의 건강을 우려돼 자주 소독하고 있다"고 말했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영업점에서 본점으로 보낸 현금을 최근 들어 방역하고 있다. 또한 본점과 개별 영업점의 금고도 수시로 소독하고 있다.
NH농협은행도 지폐를 소독하기 위해 4일 지역별 업무지원센터 9곳에 분사기 1대와 20ℓ짜리 소독약 3통을 배치했다.
업무지원센터는 지역 내 영업점의 현금관리를 하는 곳이다. 서울에서는 서울자금관리팀이, 경기도에서는 경기자금물류반이, 나머지 지역의 경우 지역업무지원단이 업무지원센터 역할을 맡고 있다.
KB국민은행은 전문 방역업체에 위탁해 주 1회 본점 금고를 방역하고 있다. 또 외국인 방문이 잦은 영업점에서 한도 초과 현금을 보내오면 역시 소독하고 있다.
신한은행은 본부 출납센터에 현금이 들어오고 나갈 때 부정기적으로 소독하고 있다.
하나은행은 현금 위생 관리를 위해 한국은행을 '활용'하고 있다. 본점으로 모이는 원화 화폐의 80%가량을 한국은행으로 보내서 신권 또는 사용권으로 교환하고 있다. 과거에는 30∼40% 정도만 한국은행으로 보냈다.
한국은행은 코로나19 바이러스 생존 기간을 고려, 금융기관으로부터 들어온 화폐를 최소 2주간 금고에 보관하고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고객들이 자주 찾는 자동화기기(ATM)도 매일같이 소독하고 있다"며 "여러 사람을 거치는 것이 돈이다보니 고객 및 직원의 건강을 우려돼 자주 소독하고 있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