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0일 서울 시내 한 약국 앞을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 정부는 공적 마스킄 판매를 위한 마스크 5부제를 시행 중이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 서울 종로구에 사는 김 모(36)씨는 암 수술 후 집에서 요양 중인 어머니의 마스크를 대신 사주려다 약국에서 주저앉고 말았다. 그는 “가족관계 증명서를 갖고 왔는데 마스크를 구매할 수 없었다. 암수술과 항암치료로 약해진 면역력으로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다가 코로나에 감염될까 우려된다”고 토로했다.
김 모 씨와 같이 공적마스크를 사려고 가족관계증명서, 신분증 등을 들고 왔지만 발길을 돌리는 이들이 늘고 있다. 대부분 암환자 등 중증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의 가족들이다. 항암치료로 거동이 불편한 가족을 부축해 마스크를 사려 줄을 선 보호자들도 있다.
◆항암 치료로 약해진 면역력, 가족들이 대리구매 나섰지만 헛걸음
면역력이 약해진 중증환자들에게 마스크는 필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가 유행하면서 외출을 최대한 자제하고 있지만, 항암치료를 위한 병원 방문 등 불가피한 외출 시에 마스크가 꼭 필요하기 때문이다.
약사들도 사연은 안타깝지만 어쩔 수 없다고 말한다. 서울의 한 약사는 “중증환자분들의 사연은 안타깝지만 오랜 시간 줄을 서 기다린 분들에게 일일이 양해를 구하기도 어려운 일”이라며 “애초에 정부가 대리구매 대상을 너무 좁게 한정지은 탓”이라고 지적했다.
◆온·온프라인서 마스크 재고 사라져↓…‘공적마스크’가 만든 사각지대
정부가 현재 공적마스크 대리 구매를 허용한 대상은 가족이 만 10세 이하(2010년 이후 출생) 어린이거나 만 80세 이상(1940년 이전 출생) 노인, 장기요양급여 수급자, 장애인에 한정한다.
여기에 포함되지 못한 중증질환자와 그 가족들은 마스크를 구하기 위해 밤낮 없이 편의점, 마트 등을 돌고, 온라인 쇼핑몰을 수시로 접속한다.
하지만 마스크를 구하기는 공적마스크 판매 이전보다 더욱 힘들어졌다. 한 암환자의 가족은 “예전에는 동네 편의점과 마트에 발품을 팔면 2~3장은 구할 수 있었다”며 “하지만 지금 마스크를 찾아 볼 수 없다. 상인들에게 물어보면 공적마스크로 다 나가가기 때문에 들어오는 수량이 없다고 한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마스크 품귀를 해소하기 위해 도입한 공적마스크와 마스크5부제가 또 다른 사각지대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답답한 상황이 이어지면서 중증환자 환자들의 마스크 대리구매도 허용해달라는 청와대 국민 청원도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정부는 복지부동이다. 정부관계자는 “5부제가 정착이 되는 시점에 가서 정말로 대리구매가 어려운 사람에 대한 추가 확대방안 부분은 관계부처와 협조하겠다”면서도 “대리구매는 현재 정한지 4~5일 진행되고 있어 시간을 두고 좀 지켜볼 필요성이 있다. ”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