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한국 ICT 잠재력 무궁무진...의료 결합하면 활용도 더 커질 것"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우리나라는 세계적인 수준의 정보통신기술(ICT)을 가졌음에도 의료 분야에 ICT가 적용되지 않았다"며 "이분법적 사고에서 벗어나 전향적인 논의를 할 때"라고 판단했다.

홍 부총리는 12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지난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 크루즈선에 갇혀 있던 한국인들에게 화상 진료를 통해 심리적 안정을 주고 스트레스 관리, 건강 상황 모니터링과 진단 키트, 처방약 등을 배송했더라면 어떠했을까 상상해 본다"고 운을 뗐다.

그는 "코로나19 사태 때 보여준 자가 진단 애플리케이션(앱), 확진자 동선 정보를 알려주는 코로나 맵 개발 사례만 보더라도 우리나라의 ICT의 잠재력은 무궁무진하다"면서 "의료를 결합하면 그 활용도는 더욱 커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홍 부총리는 그러면서 "코로나19 사태로 의료진들이 대구·경북 등에 집중 투입됐을 때 원격 진료는 일반 진료를 위한 좋은 보완재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싶다"고 부연했다.

그는 "원격 진료가 대구·경북 등 현장에서 코로나19와 사투를 벌이는 의료진의 숭고한 헌신과 노고를 다 대신할 수는 없지만, 유사 사태 시 혈압·당뇨 등 질환에 대한 일반 진료와 처방은 원격 진료로도 가능하다"며 "환자 격리, 의료진 감염 보호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홍 부총리는 이어 "개인 의료 데이터 '수집-분석-활용'과 원격진료 등 디지털 헬스케어는 궁극적으로 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관리할 수 있다는 차원에서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원격 진료 시  국민의 건강과 개인정보 보호 등이 문제가 된다면 미국, 일본 등의 도입 사례와 부작용, 문제해결 과정들도 참고하여 해결책을 찾아보는 것도 필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지금의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정부와 의료계도 원격 진료의 허용·금지라는 이분법적 사고에서 벗어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정부와 의료계가 함께 머리를 맞대고 전향적인 논의를 시작하길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