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철우 경북도지사 코로나19 브리핑. [사진=경상북도 제공]
특별재난지역은 지자체의 행정·재정 능력으로는 수습이 곤란해 국가차원의 지원이 필요한 경우 대통령이 재가하면 선포하는 것으로, 감염병에 따른 특별재난지역 선포는 최초 사례인 만큼 세 가지를 기준으로 했다.
첫째 1급 감염병으로 인해 위기경보 심각단계가 발령된 상황, 둘째 일정기간 내 환자(또는 사망자) 발생규모 등 피해가 큰 지역, 셋째 지자체의 의료 등 보유자원만으로 대응이 어렵다고 인정 할 때 등이다.
이철우 도지사는 이번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받기 위해 지난 12일과 13일 국무총리와 국회의장, 여야 원내대표, 청와대 정책실장, 행정안전부장관을 직접 만나 지역의 소비감소와 관광업, 서비스업 등의 위축에 따라 대구·경북지역 전체를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해 줄 것을 요청했으나, 정부에서는 분야별, 업종별로 별도 시책으로 지원·추진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 지사는 “경산, 청도, 봉화 지역이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만큼 코로나19로 인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피해 주민들이 하루 빨리 안정을 되찾고, 일상으로 돌아 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특히 코로나19로 인하여 지역이 심각한 피해가 발생한 만큼 취약계층 긴급 생계자금 및 자영업자 생존자금 지원을 중앙에 지속적으로 요청하는 등 민생안정과 지역경제 살리기를 위해 최선을 다 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