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경제인연합회는 우리정부와 일본이 기업인 특별입국절차 시행에 합의한 데 대해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던 양국 기업인 간 교류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전경련은 6일 논평을 통해 “이번 합의는 그간 기업인의 대(對)일본 경제활동에 가장 큰 애로였던 양국 간 입국제한을 다소나마 완화하는 조치”라며 “환영한다”고 말했다.
이날 한국과 일본은 기업인 특별입국절차를 오는 8일부터 시행하기로 합의했다.
이번 제도는 주로 단기 출장자에게 적용되는 비즈니스 트랙과 장기 체류자를 위한 레지던스 트랙 등 두 가지 형태다.
비즈니스 트랙으로 일본 방문을 원하는 기업인은 일본 초청 기업이 작성한 서약서와 활동계획서 등을 주한 일본대사관 또는 총영사관에 제출해 비자를 발급받은 뒤 양국의 특별방역 절차를 준수하면 일본 입국 후 격리 조치를 면제받게 된다.
레지던스 트랙으로 입국을 원하면 활동계획서를 제출하지 않아도 된다. 격리는 해야 하지만 특정 목적의 비자를 받으면 격리가 면제된다.
전경련은 “양국 정부는 이번 조치를 계기로 경제협력 전반에서 미래지향적 한·일관계로 나아갈 수 있도록 보다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 주기를 바란다”며 “경제계도 철저한 방역 조치의 기반 위에서 양국 간 경제협력 활성화 및 경제위기 극복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전경련은 6일 논평을 통해 “이번 합의는 그간 기업인의 대(對)일본 경제활동에 가장 큰 애로였던 양국 간 입국제한을 다소나마 완화하는 조치”라며 “환영한다”고 말했다.
이날 한국과 일본은 기업인 특별입국절차를 오는 8일부터 시행하기로 합의했다.
이번 제도는 주로 단기 출장자에게 적용되는 비즈니스 트랙과 장기 체류자를 위한 레지던스 트랙 등 두 가지 형태다.
레지던스 트랙으로 입국을 원하면 활동계획서를 제출하지 않아도 된다. 격리는 해야 하지만 특정 목적의 비자를 받으면 격리가 면제된다.
전경련은 “양국 정부는 이번 조치를 계기로 경제협력 전반에서 미래지향적 한·일관계로 나아갈 수 있도록 보다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 주기를 바란다”며 “경제계도 철저한 방역 조치의 기반 위에서 양국 간 경제협력 활성화 및 경제위기 극복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태호 외교부 2차관이 6일 오후 외교부에서 `한·일 양국 정부가 이번 달 중으로 기업인 입국 제한을 완화키로 한 합의안'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