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노인빈곤율이 2년째 더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보건복지부와 통계청 e-나라지표 자료에 따르면 2023년 처분가능소득(가처분소득) 기준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상대적 빈곤율'(노인빈곤율)은 38.2%였다.
가처분소득은 자유롭게 소비하거나 저축할 수 있는 소득을 말한다. 개인소득에서 세금 등을 빼고 연금 등 공적 이전소득을 보탠 것이다.
상대적 빈곤율은 전체 노인 중 소득수준이 중위소득 대비 50%(상대 빈곤선) 이하인 사람 비율을 말한다.
2023년 노인빈곤율을 성별로 나눠보면 남성 31.8%, 여성 43.2%로 여성이 훨씬 더 빈곤했다.
이런 노인빈곤율은 우리나라 전체 상대적 빈곤율(14.9%)이나 근로연령인구(18∼65세)의 상대적 빈곤율 9.8%(남성 9.7%, 여성 10.0%)보다 월등히 높다.
그간 우리나라 노인 빈곤율은 대체로 낮아지던 추세였다. 2013년 46.3%, 2014년 44.5%, 2015년 43.2%, 2016년 43.6%, 2017년 42.3%, 2018년 42.0%, 2019년 41.4% 등으로 40%대 중반에서 초반으로 꾸준히 감소하다가 2020년 38.9%로 처음으로 30%대로 떨어졌다.
2021년에는 37.6%로 2020년보다 1.3%포인트 내려갔지만 2022년 들어 38.1%로 전년보다 0.5%포인트 높아지더니 2023년엔 38.2%로 0.1%포인트 더 나빠졌다.
우리나라 노인빈곤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최고 수준이다.
2020년 기준 한국의 66세 이상 노인 인구의 소득 빈곤율은 40.4%로 OECD 회원국 평균(14.2%)보다 3배 가까이 높았다. OECD 가입국 중 노인 소득 빈곤율이 40%대에 달할 정도로 높은 국가는 한국밖에 없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