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는 19일 애플 아이폰에 기존 문자 메시지를 대체하는 '차세대 메시지 전송 서비스(RCS)'를 도입해 이용자 불편이 해소될 수 있도록 조치했다고 밝혔다.
RCS는 이동통신사의 단문 메시지(SMS)나 장문 메시지(MMS)보다 발전된 기능이다. 대용량 파일 전송이나 '작성중', '읽음' 표시 등 채팅 기능을 지원한다.
방통위는 아이폰과 안드로이드폰 이용자 간 불편 해소를 위해 이동통신 3사와 애플 간 협의를 중재해왔다. 이날 애플에 △올 상반기 내 이동통신3사가 RCS 전송 서비스 긴으을 점검할 수 있도록 베타 버전의 아이폰용 운영체제(iOS)를 배포할 것 △최대 300메가바이트(MB)까지 대용량 파일 전송 기능을 지원할 것 △서비스 도입 과정에서 이동통신3사와 지속적인 협의를 추진할 것을 권고했다.
애플 측은 "이번 방통위 권고사항을 준수해 올 하반기까지 국내 아이폰 이용자들이 RCS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방통위에 밝혔다.
이진숙 방통위원장은 "앞으로도 모바일 플랫폼 간 호환성과 상호 운용성을 높여 이동통신서비스의 개방성을 높이고 이용자 편익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