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5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25일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를 인하했다. 금통위원 중 2명은 3개월 내에도 금리를 추가 인하할 수 있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이날 한은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연 3.00%에서 2.75%로 인하한 후 기자간담회를 열어 "이번 금리 인하는 금통위원 전원 일치로 결정됐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결정 배경과 관련해 "금년 중 성장률이 크게 낮아질 것으로 전망하면서 경기 대응을 위해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했다"며 "악화된 소비심리가 지표부진으로 이어지고 있고 미국 새 정부 관세 정책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면서 당분간 경기 둔화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3개월 내 금리 전망과 관련해선 "저를 제외한 금통위원 6명 중 4명은 3개월 내에도 기준금리를 현 2.75%로 유지해야 한다고 했다"며 "나머지 2명은 2.75%보다 낮은 수준으로 내려야 한다고 했다"고 밝혔다.
그는 "4명은 대내외 정책 여건의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기준금리 추가 인하 여력이 빠르게 소진되는 데 대한 우려를 표현하며 여건 변화를 살펴봐야 한다고 했다"며 "나머지 2명은 경기 하방 압력을 고려할 때 추가 인하 가능성을 열어놓아야 한다고 했다"고 말했다.
다만 이 총재는 "추가 인하 시기에 대해 의견을 달리하긴 했지만 6명 모두 통화정책이 금리 인하 국면에 있으며 향후 데이터를 보면서 인하 시점을 결정해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고 덧붙였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이날 한은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연 3.00%에서 2.75%로 인하한 후 기자간담회를 열어 "이번 금리 인하는 금통위원 전원 일치로 결정됐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결정 배경과 관련해 "금년 중 성장률이 크게 낮아질 것으로 전망하면서 경기 대응을 위해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했다"며 "악화된 소비심리가 지표부진으로 이어지고 있고 미국 새 정부 관세 정책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면서 당분간 경기 둔화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3개월 내 금리 전망과 관련해선 "저를 제외한 금통위원 6명 중 4명은 3개월 내에도 기준금리를 현 2.75%로 유지해야 한다고 했다"며 "나머지 2명은 2.75%보다 낮은 수준으로 내려야 한다고 했다"고 밝혔다.
다만 이 총재는 "추가 인하 시기에 대해 의견을 달리하긴 했지만 6명 모두 통화정책이 금리 인하 국면에 있으며 향후 데이터를 보면서 인하 시점을 결정해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