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전기차 시장에서 현대차와 기아의 합산 점유율이 70% 선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테슬라는 신차 출시가 늦어지면서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16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현대차·기아의 내수 전기차 시장 점유율은 70.4%로, 지난해 연간 점유율(60.1%) 보다 10% 포인트 넘게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같은기간 수입 전기차 점유율은 34.9%에서 26.4%로 감소했다.
특히 지난달 현대차 전기차는 총 5346대가 팔리며 전년 동월(667대) 대비 8배 넘게 증가했다. 아이오닉5(1463대)가 지난해 같은 기간(224대)보다 6배가량 증가했고, 지난해 하반기 출시된 캐스퍼 일렉트릭(1061대)도 힘을 보탰다.
지난달 기아 전기차(4666대)도 전년 동기(1273대)의 4배 가까운 판매량을 기록했다. 신차 기아 EV3는 2257대의 판매량으로 전기차 가운데 최다 판매 차종에 올랐다.
통상 연초에는 차종별 보조금이 정해지지 않아 전기차 수요가 적지만 올해에는 환경부가 1월15일 보조금 지침을 발표하면서 판매가 본격적으로 늘기 시작했다.
이번달 수입 전기차가 부진한 이유는 테슬라의 영향이 크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가 테슬라를 처음 집계에 포함한 지난해에는 전체 전기차 점유율(34.9%)의 21%가 테슬라였지만, 올해 테슬라는 신차 출시가 지연되면서 15.6%까지 떨어졌다. 현재 테슬라의 주력인 모델 Y는 2020년 출시된 제품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