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5차 - 분양광고  2025-03-19

카드사 女 사외이사 비중, 2년째 '제자리'…AI·거시경제만 방점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이서영 기자
입력 2025-03-30 15:4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36명 중 8명 여성…사실상 3년간 비중 확대 無 

  • "수익성 악화 대비 생존전략 必…경쟁력 강화 방점" 

Getty Images Bank
Getty Images Bank
카드사 여성 사외이사 비중이 2년 연속 제자리걸음 중이다. 금융권 전반에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과 이사회 다양성이 강조되는 흐름 속에서 카드사는 올해 수익성 악화를 명분으로 변화에 미온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전업카드사 8곳(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우리·하나·비씨) 주주총회 결과 이들 카드사의 여성 사외이사는 8명으로 지난해와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이는 전체 중 22% 수준이다.

카드사의 여성 사외 이사 비중 확대는 최근 3년간 멈춰 있다. 현대카드(5명)와 우리카드(4명)는 여성 사외이사가 전무했다. 반면 하나·롯데카드는 5명 중 2명이 여성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고, 나머지 카드사들은 1명씩에 그쳤다.

올해 새로 선임된 사외이사 8명 중 여성은 단 2명이다. 삼성카드는 거시경제 전문가인 서영경 전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을, 신한카드는 조선희 숙명여대 미디어학부 교수를 신규 사외이사로 선임했다. 다만 이들 역시 기존 여성 사외이사를 교체한 사례로 전체 여성 이사 수에는 변함이 없었다. 나머지 사외이사 6명은 모두 남성이며 AI·거시경제 등 기술과 정책 분야 전문가 중심으로 채워졌다. 

자본시장법 개정에 따라 자산총액 2조원 이상인 상장회사는 이사회를 특정 성별로만 구성할 수 없게 돼 있으나 카드사 중 삼성카드를 제외하면 모두 비상장사여서 법적 의무는 없다. 그러나 대부분이 금융지주 계열사라는 점에서 ESG 연장선상에서 아쉽다는 시선도 적지 않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올해는 수익성 악화와 신사업 경쟁 심화로 각 카드사들이 생존 전략 마련에 몰두하는 시기였다"며 "이사회 구성도 성별 다양성보다는 실질 경쟁력에 방점이 찍힌 분위기"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