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사업은 기존 암호체계에 대한 보안 위협 가능성에 대비해 국민 생활과 밀접한 에너지, 의료, 행정분야 정보통신 인프라에 양자내성암호를 적용한다.
이에 과기정통부와 KISA는 지난 1월부터 사업자 선정을 위한 공모를 진행했다. 지원한 연합체를 평가한 결과 △에너지 분야에 한전 KDN 연합체 △의료 분야에 라온시큐어 연합체 △행정 분야에 LG유플러스 연합체를 최종 선정했다.
먼저 에너지 분야의 한전KDN 연합체는 한국전력공사의 '전력 사용량 원격 검침 시스템'의 암호 체계를 양자내성암호 체계로 시범 전환한다. 전국 가정의 중요 정보를 포함한 검침 데이터의 유출과 위변조를 방지한다. 향후 추가적인 에너지 분야 인프라 시스템에 대한 양자내성암호 전환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LG유플러스 연합체는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이 운영하는 '국가기술자격검정시스템' 등 국가 행정정보시스템의 암호체계를 양자내성암호 체계로 시범 전환한다. 행정 분야 환경에 보안 기술을 확보하고 향후 개발 솔루션을 확산해 공공 서비스 신뢰도 향상을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와 KISA는 이번 시범사업으로 △암호체계 전환에 필요한 모듈 개발 △전환과정에서 발생하는 기술상 문제점과 해결 방안 △실제 전환 절차와 방법론 등을 도출할 계획이다.
아울러 결과물을 종합해 산업 전반에서 활용할 수 있는 '양자내성암호 전환 가이드라인'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최우혁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양자컴퓨터 시대에 대비해 안전한 디지털 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정부도 적극적인 지원과 노력을 다하겠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